[현장 행정] 감초마을 살려야 동대문구 꽃핍니다

주현진 기자
수정 2018-10-02 18:28
입력 2018-10-02 17:56
구도심 변신 앞장서는 유덕열 구청장

유 구청장은 2013년 재개발이 무산된 감초마을을 그대로 둔다면 폐허가 될 것이라며 도시재생 지구로 선정될 수 있도록 문제를 알리고 유관 기관 협의에 나서는 등 오랫동안 공을 들여 왔다. 인구가 줄고 노후건축물 비율도 도시쇠퇴지수에 부합하지만 주민들이 마을을 지키고 가꾸고자 하는 의지와 참여가 높은 점에 주목했다. 실제로 주택 신축 및 개량에 대한 상담만 50건에 달하고 주민들이 직접 자율주택 정비사업체를 구성한 곳도 많다.
도시재생 사업지로 선정받기 위해 유 구청장은 지난해 11월 감초마을기획단을 구성하고 올해 초 도시재생학교 운영을 시작했다. 이어 인접한 고려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주민 역량 강화 교육, 노후 건물 수리 등의 부문도 지원하기로 했다.
향후 소규모 주택정비 지원, 주민 공동이용시설 조성, 생활환경 개선, 청년·노인 화합 프로그램 운영 등의 사업도 병행할 계획이다. 주택개량현장지원센터를 운영해 집수리상담 및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컨설팅 등 노후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데 주력한다는 목표이다.
과제도 적지 않다. 사업대상지 650여 가구 가운데 각종 권리 다툼 등으로 재생에 시동을 걸 수 없도록 발이 묶인 가구가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구 직원들이 이들을 계속 접촉해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이날 유 구청장이 현장행정에 나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감초마을을 선도적인 저층주거지 도시재생 모델로 만든 뒤 여세를 몰아 주변으로 재생을 확산시킨다는 게 유 구청장의 복안이다. 제기동 감초마을 인근 홍릉 일대 모두 뉴딜사업 대상지로 선정받기 위해 서울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고 있다. 유 구청장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부족한 기초 인프라 시설을 확충해 ‘따뜻하고 편리하고 건강한 감초마을’로 탈바꿈시켜 ‘살기 좋은 동대문구’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글 사진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8-10-0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