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 학교 직영이 빛났다… 노원의 진심이 통했다

강국진 기자
수정 2019-02-18 00:05
입력 2019-02-17 18:00
[현장 행정] 아이휴센터의 실험

노원구 제공
노원구는 요즘 아이휴센터 때문에 민원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상계8동 주공10단지 1호점이 문을 열고 지난 1월에는 상계5동 일반주택 1층에 2호점이 들어섰다. 입소문이 나면서 주민들이 ‘우리 동네에 빨리 아이휴센터를 설립해 달라’고 성화다. 공릉1동에 있는 한 아파트단지에선 동대표회의를 열고 관리동 공간 일부를 내주겠다는 제안까지 했을 정도다.
다음달에는 5곳이 추가로 문 연다. 오 구청장은 “올해까지 21곳으로 늘리고 임기를 마칠 때엔 36곳까지 만들어 초등학교 저학년 1000명에게 방과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당초 목표였는데 주민들 호응이 워낙 좋아 더 많이 만드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청와대 여성가족비서관과 복지부 담당 과장이 아이휴센터를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맞벌이 부모를 둔 초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후활동교실이라고 할 수 있는 아이휴센터가 이렇게 뜨거운 호응을 얻는 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특별한 구석이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특징은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노원구민이라면 누구나 아이들을 맡길 수 있다는 데 있다. 오 구청장은 “기존 모델인 지역아동센터는 취약계층만 대상으로 했다. 하지만 잘 살든 못 살든 맞벌이 부모가 느끼는 고충은 다 똑같지 않겠느냐”고 설명했다.
주거지역에 작은 센터를 곳곳에 만드는 방식도 기존에 볼 수 없었던 특징이다. 노원구는 아이휴센터는 1500가구 이상의 아파트단지나 학교 인근 일반주택 1층을 구청이 전세로 얻어서 만든다. 동네 곳곳에 있고 집과 학교에서 가깝다. 안심하고 맡길 수 있다. 한 센터에서 맡는 아이들은 최대 30명을 넘지 않는다. 김정한 아동친화정책팀장은 “등교 전 돌봄서비스, 관내 병원과 연계해 아픈 아이를 신속하게 돌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돌봄교사를 모두 구에서 직영으로 고용한 건 화룡점정이다. 오 구청장은 “돌봄네트워크지원단을 만들고 거기서 돌봄교사를 직접 고용한다. 구청이 책임지고 관리해야 책임성도 높아지고 학부모들도 믿고 맡길 수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아이 낳고 기르기 힘들게 하는 걸림돌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국가적 위기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서 “아이휴센터 실험이 전국으로 퍼져 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9-02-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