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많은 용산? 아이들 편한 용산!

정서린 기자
수정 2019-09-04 01:10
입력 2019-09-03 22:18
[현장 행정] 어린이 비전센터 세우는 성장현 구청장
연면적 1만㎡ 놀이터·육아방 등 조성
“2022년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 50%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받을 것”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이 서울의 관문인 한강로 일대에서 가장 큰 개발 지역 가운데 하나인 용산역 맞은편 4구역(한강로3가 63-70)에 어린이, 청년들을 위한 복합 공간을 세운다. 지하 5층~지상 6층(연면적 1만 48㎡) 규모의 건물에 우리동네 키움센터, 공공형 실내놀이터, 열린 육아방, 공동육아나눔터를 아우르는 어린이 비전센터가 들어선다.
민선 5기부터 10년에 걸쳐 다양한 아동·청소년 지원 정책을 펼쳐 온 성 구청장이 ‘아동친화도시 용산’을 구현하기 위한 또 하나의 퍼즐을 맞추는 셈이다.

용산구 제공
이는 구가 최근 집중하는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노력 가운데 하나다.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란 유엔 아동권리협약 기본 정신을 실천해 18세 미만 모든 아동의 권리를 온전히 보장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현재 아동 관련 사업이 241개에 이를 정도로 활발한 아동·청소년 지원 사업을 펴는 용산구는 내년에 유니세프 한국위원회로부터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는 것을 목표로 올해 초 유니세프와 업무협약을 맺고 아동친화도시 조성에 관한 조례 제정까지 마무리했다.
성 구청장은 “최근에는 2011년 설치했던 100억원 꿈나무 장학기금 조성도 완성했다”며 “서울 자치구 가운데 이 정도 규모의 장학기금을 마련한 곳은 용산구가 유일할 정도로 기금 마련이 어려웠지만 후대를 위해 사과나무를 심는 심정으로 만든 만큼 이자 수익을 통해 아이들에게 지속적으로 혜택을 주겠다”고 설명했다. 공보육 시설과 서비스도 대폭 확대한다. 현재 지역의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률은 37.5%(33곳)로 구는 올해 3곳의 국공립 어린이집을 추가로 개소해 이용률을 40%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2022년에는 국공립 어린이집 이용률을 50%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9-09-0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