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일터·교육 원스톱… 장애인 자립 기지 세운 용산

정서린 기자
수정 2019-11-25 02:01
입력 2019-11-24 17:50
[현장 행정] 장애인커뮤니티센터 연 성장현 구청장
수익·일자리 창출 역할 카페·안마원
가족 복지서비스·재활 상담 공간도
10개월 전 약속 지킨 구청장에 감사패
“장애·비장애 경계 허물 사령탑 될 것”

용산구 제공
성장현 서울 용산구청장은 지난 1월 지역 장애인 단체와 뜻깊은 약속을 했다. 올해를 장애인 복지의 원년으로 삼아 복지 지원, 교육, 일자리 창출 등 장애인들의 다양한 요구를 구현하는 거점을 지어 주겠다는 결단이었다. 10개월 전 약속이 현실로 영글었다. 지난 20일 용산구 서빙고동에 문을 연 전국 첫 ‘장애인커뮤니티센터’다.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1496㎡ 규모의 센터는 장애인 단체의 자주적인 의사 결정을 반영한 장애인 복지 모델로 벌써 주목받고 있다. 센터 건립에는 서울시 특별조정교부금 18억 6000만원과 구비 1억 3000만원이 투입됐다.
이날 준공식을 찾은 성 구청장은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대비하느라 아이들, 어르신들을 위한 사업에 주력하다 보니 장애인 분들의 사정을 세세히 헤아리지 못했던 게 현실”이라며 “장애의 특성, 여러분들의 각각 처한 상황에 최대한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옛 창업지원센터를 여러분께 내드렸다”고 말해 장애를 겪는 주민과 가족들의 박수를 받았다. 구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는 이 자리에서 성 구청장에게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의 복리 증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해 줘 감사하다”는 내용의 깜짝 감사패를 수여하기도 했다.

용산구 제공
성 구청장은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가 직접 참여해 공간 설계, 배치에 대해 의견을 낸 만큼 센터 운영은 물론 단체 간 분산된 요구와 이해도 효율적으로 반영하고 조율할 수 있게 됐다”고 의미를 짚었다. 장애인들의 권익을 높이려는 구의 노력은 계속된다. 내년 장애인 복지 예산은 118억원 규모로 올해보다 24%(23억원) 증액했다. 50만~100만원에 이르던 장애인 가정의 출산지원금은 지난 7월부터 최대 100만~150만원으로 인상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9-11-2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