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따낸 ‘CCTV 관제시스템’… 빈틈없는 송파 지킴이

김희리 기자
수정 2020-12-24 01:41
입력 2020-12-23 22:06
[현장 행정] 행정혁신 점검 나선 박성수 구청장

송파구 제공
관제시스템은 상황실뿐 아니라 현장 차량 내 태블릿PC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토대로 각 현장요원들은 자신의 위치와 가까운 민원 장소를 신속하게 파악, 출동할 수 있다. 기존 프로그램이 상황실로 민원이 접수되면 이를 현장요원에게 배정하는 방식이었다면, 송파구가 새롭게 선보인 관제시스템은 현장에서 곧바로 민원을 파악·대응할 수 있는 직통 방식이라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각 현장요원은 자신의 담당 구역이 아니더라도 지원 업무에 나서는 등 업무의 쏠림이나 위치 등 현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데다, 민원 장소를 선택하면 카카오내비와 연동돼 자동으로 최단 경로로 빠르게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시스템을 구축한 이후 민원 처리 건수는 도입 전과 비교해 월평균 4000건에서 5100건으로 약 25% 이상 늘어났고, 개별 민원의 처리 시간도 건당 평균 78분에서 63분으로 약 20% 단축됐다는 설명이다.
이 관제시스템은 송파구가 전국 최초로 개발해 최근 특허권을 취득한 ‘폐쇄회로(CC)TV 업무 종합관리시스템’의 하나이다. 구는 빅데이터 기반의 통합 시스템을 개발해 지난해부터 운영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다른 지자체로의 특허권 판매 계약을 체결, 세외수입을 창출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이 시스템을 통해 과거 종이 문서에 기록되던 관제 근무 일지나 엑셀로 처리하던 CCTV 설치 민원, 영상정보 열람 대장, 장애 발생 복구 등 관제센터의 모든 업무도 처리할 수 있다. 축적된 빅데이터 자료는 지도에 기록돼 CCTV 신규 설치지역을 선정하고 집중 관제가 필요한 우범 지역을 확인하거나 방범 사각지대를 개선하는 등 행정업무에 활용하게 된다.
구는 특허권을 취득한 만큼 향후 다른 지자체로도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교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 구청장은 “지자체의 경쟁력은 소속 직원들의 업무 능력에서 나온다는 게 평소 소신”이라면서 “앞으로도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안을 적극 장려해 행정 혁신과 구민 만족도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20-12-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