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자원 개방·공유 1위의 성북, 노인복지·청년문제 해법 찾았다

조희선 기자
수정 2021-12-29 02:53
입력 2021-12-28 20:58
[현장 행정] 공유행정 ‘늘품집’ 찾은 이승로 구청장
코디네이터가 공구 대여·수리 상담어르신 낙상 예방, 노후주택 개조도
청년에겐 맞춤 교육 … 일자리 제공
“자원 한계 뛰어넘은 정책 좋은 평가”
성북구 제공
지난 10월 문을 연 늘품집은 ‘주민을 늘 따뜻하게 품어주는 집’이라는 뜻이다. 성북구의 ‘공유 행정’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장소다. 주민을 위한 공유 공간인 늘품집에는 주거 코디네이터들이 상주하고 있어 집 수리에 대한 상담을 해주거나 전동 공구를 무료로 대여해 준다. 또 동네 어르신들의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해 노후주택 개조 상담과 신청도 맡고 있다. 미끄럼 방지 시공이나 안전 손잡이 설치, 문턱 제거 등 어르신들의 집 수리를 위한 서비스는 지역 청년들이 담당하고 있다. 이날 늘품집을 찾은 이승로 성북구청장은 “지역 청년들을 대상으로 집 수리 전문 교육 과정을 운영해 고령자 맞춤형 주거 환경 전문가를 양성했다”며 “어르신께는 안전한 일상이라는 복지를, 청년들에게는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북구 제공
구는 늘품집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공공자원을 활용한 공유 서비스를 선보이며 대내외적으로 호평받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주민들을 위해 성북미디어마루 내 서울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문화 시설에서 스튜디오와 각종 미디어 장비를 공유하고 있다. 또 안 쓰는 공간을 주민 주차장으로 활용하고, 동 주민센터와 보건소 등 공공기관에서는 방역물품과 생활 공구를 빌려준다.
주민들이 일상 곳곳에서 공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힘쓴 덕분에 성북구는 행정안전부가 주관한 ‘공공자원 개방·공유서비스 지방자치단체 실적 평가’에서 전국 226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중 1위로 선정됐다. 지난해 2위에 이어 올해 1위에 오르면서 2년 연속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 구청장은 “공유를 통해 자원의 한계를 뛰어 넘은 정책들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아 뿌듯하다”며 “앞으로도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신규 공유 사업을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21-12-2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