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 치고 이웃 돕고… 노원표 ‘일석이조’ 행정

이경주 기자
수정 2015-11-17 01:24
입력 2015-11-16 22:46
아파트단지 내 나뭇가지 잘라 펠릿 난로·보일러 연료로 가공…저소득층에게 1포당 4000원 공급
“노원구에는 1980년대 지은 아파트가 많아 가지를 쳐내야 하는 나무도 많습니다. 이 나무들로 저소득층을 위한 펠릿(나무연료)을 만드는 겁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다른 6명의 직원은 잘라낸 나무 중에 지름 20㎝가 넘는 것을 선별하고 있었다. 나무 두께가 얇으면 태웠을 때 재가 많이 날리는 껍질 비율이 너무 높다. 이런 잔가지와 나뭇잎은 비료나 멀칭재로 만든다. 멀칭재는 농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의 표면을 덮어 주는 재료다. 구가 받는 가지치기 비용은 민간 업체의 50% 수준이다.
펠릿 가공은 공릉동 목예원에서 한다. 으깬 나무를 보일러로 말린 후 분쇄하고, 물과 반죽해 국수 모양으로 압축해 뽑아낸 뒤 잘게 자르면 펠릿이 된다. 따로 제작된 펠릿 난로, 펠릿 보일러 등에 사용하면 경유와 비교해 난방비가 75%까지 절약된다.
구 관계자는 “나무를 그냥 때면 화력 유지 시간이 너무 짧고 석유 등은 이산화탄소 등을 배출하지만, 나무를 압축한 펠릿은 발열량이 높고 천천히 타기 때문에 고효율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펠릿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화석연료의 8.3%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펠릿 보일러는 하루에 펠릿 1포가 필요하다. 시중에서 펠릿 1포(20㎏)당 가격은 7000원 선이다. 구는 기초생활수급자에게 배달비를 포함해 1포당 4000원에 공급한다. 차상위계층과 경로당에는 1포당 4000원, 10포당 배달비 5000원을 받는다. 지난해에는 3455포를 지원했다.
김성환 구청장은 “잘라낸 나무를 연료로 만들어 저소득층에게 지원하는 사업은 에너지자원 재활용, 위험목으로부터 주민 보호, 관리비 절감 등 일석삼조의 효과가 있다”면서 “앞으로도 도심형 바이오에너지 사업이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11-1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