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경영 기법 도입… 4년간 곳간 2012억원 불린 성동
김승훈 기자
수정 2018-05-23 02:15
입력 2018-05-22 18:08
수제화판매장·안심상가 등 민간 자본 340억원 유치
경제 활성화 지원 주요 재산은 수제화공동판매장(8동), 수제화 플랫폼, 언더스탠드에비뉴, 성동안심상가 등이다. 언더스탠드에비뉴는 성동구와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 아르콘(ARCON)이 서울숲 입구 유휴부지 4126㎡에 중고 컨테이너 115개를 이용해 만들었으며, 롯데면세점이 사회공헌기금을 지원했다.
성동안심상가는 부영주택이 공공기여로 기부채납하고, 수제화공동판매장·수제화 플랫폼은 시비 11억 5000만원을 지원받았다. 구 관계자는 “이들 시설을 조성하기 위해 민관 협력을 통해 340억원의 민간자본을 확보, 예산 문제를 극복했다”고 전했다.
주민공동체시설은 지난 4년간 독서당인문아카데미센터, 성동공유센터, 마을문화카페 등이 신설됐다. 독서당인문아카데미는 국·시비 19억 4000만원을, 성동공유센터는 시비 10억원을, 마을문화카페는 국·시비와 민간후원금 4억 1200만원을 지원받았다.
주민복지·의료시설은 사근동노인복지센터, 성동구보건소 선별진료소, 성동보훈회관 등이 새로 문을 열었다. 구 관계자는 “이외에도 강원 영월 폐교 부지를 리모델링해 성동힐링센터 ‘휴(休) 영월캠프’를 조성했고, 전남 여수시에도 힐링센터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8-05-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