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 황실배, 꼭 지키겠습니다”

이경주 기자
수정 2015-10-08 01:03
입력 2015-10-07 23:02
나진구 구청장, 배따기 자원봉사
“도심의 배농장에 구민들도 애착이 깊으니 황실배의 보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현재 구에는 27개의 배농장이 있다. 33만 5000㎡의 밭에 3만 3400그루의 배나무가 있다. 연간 900t이 생산돼 매출액은 30억원 정도다. 10년 전에 150여개가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개발로 그 수가 많이 줄었지만 최근 들어 주말농장으로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참여자는 1999년 120명에서 올해 550여명으로 늘었다. 구도 최대한 배밭을 보전하고 일부는 배나무가 있는 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구에 배밭이 많은 이유는 이 지역이 구한말에 묵동리로 불렸고 이곳에서 나온 배를 황실에 진상했기 때문이다. 이후 묵동리에 먹과 붓을 만드는 공장이 많아 먹골이라고 불리면서 ‘먹골배’가 한때 크게 유행했다. 하지만 경기 및 강원 등지에서 먹골배를 차용하면서 오히려 가치가 떨어졌다. ‘먹골배’ 브랜드를 두고 지자체 간 갈등도 있었지만 상표권의 보전 가치가 없다는 법원의 판결로 구는 ‘먹골배’를 버리고 ‘황실배’라는 상표를 만들었다.
구 관계자는 “최근 도시농업이라고 해 인공적으로 농사를 짓는 것도 유행인데, 서울시에서 가장 큰 규모의 배밭이 있다는 장점을 살려 자연 교육 및 체험의 장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5-10-0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