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조례 만들고 상생협약 맺고… 지역 공동체 합의가 큰 힘”
수정 2015-12-25 01:51
입력 2015-12-24 18:08
정원오 성동구청장 인터뷰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정 구청장은 “도시재생 과정에서 대규모 상업시설과 프랜차이즈 상가가 들어서면 도시가 더 깔끔해지고 좋아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오히려 반대”라면서 “그 도시의 특색이자 매력의 근원인 문화공간과 거리가 사라지면 유동인구가 줄고, 결국 죽은 도시로 가는 길”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의 시대에 도시의 경쟁력은 ‘도시의 개성’인 탓이다.
문제는 대안이다. 정 구청장은 “우리가 선택한 길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지방정부가 젠트리피케이션 피해에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된다”며 힘주어 말했다.
성동구의 행보는 ‘기초단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성동구는 지난 9월 전국 최초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조례를 제정했고, 지난 22일에는 구청과 상가주인, 세입자 등이 함께 참여하는 상호협력위원회를 설치해 임대료와 권리금 안정화를 위한 상생협약을 맺었다.
그는 “미국 뉴욕은 도시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맨해튼과 브루클린, 퀸스 등 59개 커뮤니티에 보드를 설치하고 지역 개발에서 토지 이용 방안 결정에 지역공동체가 참여할 수 있게 했다”면서 “지자체가 투입할 수 있는 재원이 뻔하지만 올해 만든 조례와 협약이 젠트리피케이션 피해 방지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 구청장이 가장 집중하는 것은 지역 공동체의 합의다. 정 구청장은 “작은 상가와 문화예술공간 등은 지역의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면서 “개인의 이기심보다 공동체의 협력과 합의가 더 큰 이익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2015-1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