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est 시티] “번지르르한 외관보단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의 행복이 더 중요”

김동현 기자
수정 2016-02-04 22:27
입력 2016-02-04 21:44
김수영 양천구청장의 신개념 구정철학
“민선 6기 들어서 일이 많아졌어요. 그래도 예전보다 주민들이 공무원을 많이 믿어 줘요. 최근에 사업을 하면서 주민들과 논의하고 토론하는 일이 많아져서 그런 것 같아요.”(양천구 공무원 김모씨)

양천구 제공
김 구청장은 “‘주민들 이야기를 다 들으면 어떻게 일을 하느냐’는 지적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아이디어를 내거나 정책을 개발하는 이유는 그 정책이 실제로 지역의 변화를 이끌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21세기는 일방적으로 구청이 공무원을 밀어붙인다고 사업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지방자치의 핵심은 주민이다. 주민이 정책 입안에 참여하고, 정책을 이해하고, 또 정책의 추진력이 되지 않으면 겉으로 잘되는 것 같은 사업도 금방 힘을 잃고 만다”고 설명했다.
김 구청장이 구정 철학의 중심으로 ‘소통’을 선택한 것에는 남다른 이유가 있다. 김 구청장은 “도시의 외관을 바꾸는 것보다 주민들이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바꾸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서 “이런 시스템의 변화에는 주민들의 동의가 가장 중요하다. 구청장 혼자 정책을 만들어 사교육비를 줄이자, 대안적 경제시스템을 만들자고 해 봤자 소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대화와 소통으로 양천구를 ‘행복특구’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2-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