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 경쟁률 높은 곳 응시기피 사실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6-03 02:48
입력 2010-06-03 00:00
지난달 22일 서울시를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에서 일제히 치러졌던 지방직 9급 시험에선 “경쟁률과 응시율이 반비례한다.”는 수험가 속설이 사실로 증명됐다.

이미지 확대
지방직 시험은 주민등록 주소와 본적지 2곳에 원서를 낼 수 있다. 때문에 경쟁률이 발표되면 수험생들은 시험일까지 자신이 접수한 2개 지역 가운데 한 곳을 선택한다. 이런 이유로 경쟁률이 낮은 지역은 응시율이 높고, 경쟁률이 높은 지역은 반대로 응시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정책·고시·취업>최신 뉴스 보러가기

52명을 모집한 대전시는 4843명이 원서를 내 경쟁률이 93.1대1로 15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그러나 시험장에 나타난 인원은 2808명. 응시율이 58%에 불과했다. 경쟁률이 두 번째로 높았던 대구시도 146명 선발에 9909명이 지원해 67.9대1을 기록했다. 그러나 실제 시험엔 5593명만 응시해 응시율은 56.4%였다.

반면 비교적 경쟁이 덜했던 강원(29.7대1), 부산(33.1대1)은 각각 71%, 69.9%의 높은 응시율을 보였다. 충북과 충남, 제주도 70%대의 높은 응시율을 기록했다. 이 지역 경쟁률은 각각 40대1, 24.9대1, 22.2대1로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대표직렬인 일반행정직에서도 이런 흐름은 똑같았다. 100대1 이상의 경쟁률을 보인 인천, 대전, 대구는 각각 60%, 59.6%, 56.8%의 낮은 응시율을 보였다.

하지만 41.6대1로 경쟁률이 저조했던 부산은 지원자 8435명 가운데 6020명이 시험을 치러 71.4%의 높은 응시율을 나타냈다. 충북(67.6대1)도 원서를 낸 3264명 가운데 70.7%에 이르는 2307명이 시험에 응시했다. 김성미 이그잼고시학원 마케팅전략본부차장은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수험생들이 일단 두 곳에 원서를 낸 뒤 경쟁률이 높은 지역을 배제하다 보니 나타난 현상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남상헌기자 kize@seoul.co.kr
2010-06-0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