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해군, 미사일 시스템 탑재로 연안전투함 효용 늘리나 [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최현호 기자
수정 2025-09-03 17:25
입력 2025-09-03 17:25
이미지 확대
LCS USS 몽고메리 갑판에 설치된 M903 패트리어 미사일 발사대. 출처 록히드마틴
LCS USS 몽고메리 갑판에 설치된 M903 패트리어 미사일 발사대. 출처 록히드마틴


미 해군은 중요 함선 건조와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군 함정을 건조하는 미국 조선업체들은 납기를 맞추지 못하고 있고, 새로운 전투함으로 기대를 모았던 컨스텔레이션급 호위함 사업은 잦은 설계 변경으로 초도함 건조마저 계속 지연되고 있고, 비용도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실패한 사업으로 불렸던 것도 있다. 바로 연안전투함 LCS(Littoral Combat Ship)이다. LCS는 록히드마틴의 단동체형 프리덤(Freedom)급과 오스탈 US의 삼동선형 인디펜던스(Independence)급의 두가지가 공급되었다. 하지만, 여러 문제가 발생했고, 처음 예정한 52척보다 훨씬 적은 프리덤급 16척, 인디펜던스급 19척, 총 35척으로 사업을 마무리했다. 그마저도 프리덤은 5척과 인디펜던스급 두 척은 조기 퇴역했다.

LCS는 무장도 빈약하다. 둘 다 배수량 3000톤으로 우리나라의 충남급 호위함과 비슷하지만, 무장은 57㎜ 함포 1문, 근접 방어용 램(RAM) 발사기 1대에 기관총 등이 더해지고, 미사일은 대수상전 모듈을 장착하면 AGM-114L 헬파이어 미사일 24발이 더해진다. 이렇게 계륵이 되어가던 LCS에 미 해군이 새로운 임무를 부여하면서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이미지 확대
2024년 말 공개된 LCS USS 난터켓 갑판에 Mk.70 PDS가 장착된 장면. 출처 미 해군
2024년 말 공개된 LCS USS 난터켓 갑판에 Mk.70 PDS가 장착된 장면. 출처 미 해군


최근 록히드마틴은 인디펜던스급 LCS인 LCS-8 USS 몽고메리함 갑판에 M903 패트리어트 미사일 발사대를 결합해 원정형 대공방어 개념을 시연했다. 패트리어트 발사대에 PAC-3 MSE 미사일을 장착하면 탄도미사일 방어까지 가능해진다. 이는 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점증하는 위협에 대처할 능력의 향상을 의미한다.

LCS 갑판에 기존에 계획되지 않았던 장거리 무기를 탑재한 것은 이전에도 있었다. 2024년 12월, 미 해군 프리덤급 LCS인 LCS-27 USS 난터켓 갑판에 미 육군의 중거리 능력(MCRC) 체계에 사용되는 40피트 컨테이너에 Mk.41 수직발사관 셀을 이식한 Mk.70 페이로드 전달 시스템(PDS, Payload Delivery System)이 탑재된 것이 공개되었다.

이미지 확대
미 해군이 연구중인 무인수상함 USV 레인저 갑판에 설치된 Mk.70 PDS. 출처 미 국방부 시각 정보 배포 서비스
미 해군이 연구중인 무인수상함 USV 레인저 갑판에 설치된 Mk.70 PDS. 출처 미 국방부 시각 정보 배포 서비스


Mk.70 PDS에는 SM-6 미사일과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TLAM)을 탑재할 수 있어 중거리 대공방어와 장거리 지상공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패트리어트보다 훨씬 긴 거리에 대한 방어 능력과 지상 공격 능력을 LCS에 부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당시 해군성 장관이던 델 토로는 미 해군 연구소 2024년 포럼에서 Mk 70이 LCS 함대에 엄청난 화력과 적에 대한 더 많은 전술적 우위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 세계 곳곳, 특히 추가된 기능을 통해 태평양을 비롯한 필요한 모든 곳에서 공격적으로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혀 주목받았다.



Mk.70 PDS는 LCS 외에도 미 해군이 연구 중인 무인 수상함 갑판에도 배치되는 등 탑재할 여건만 마련된다면 어떤 함선에도 통합할 수 있는 체계가 되어가고 있다. 인도-태평양에서 빠르게 확장하는 중국의 영향력에 대응해야 하지만, 함선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미 해군이 LCS에 다양한 무기를 탑재하여 능력 부족을 일부라고 메울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