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상의 붉은 커튼…알프스 마터호른서 빛나는 환상의 오로라 [우주를 보다]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수정 2025-11-14 09:00
입력 2025-11-14 09:00
이미지 확대
난 12일(현지시간) 마터호른에서 포착한 오로라. 로이터 연합뉴스
난 12일(현지시간) 마터호른에서 포착한 오로라. 로이터 연합뉴스


최근 태양의 왕성한 활동으로 지구촌 일부 지역에 화려한 오로라가 발생한 가운데, 알프스산맥 봉우리인 마터호른이 붉은빛으로 물들었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마터호른 상공에 붉게 빛나는 희귀한 오로라가 관측됐다고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해당 영상의 일부
해당 영상의 일부


소셜미디어 등에 공개된 영상을 보면 아름다운 알프스의 상징을 배경으로 붉은빛으로 일렁이는 오로라의 모습이 확인된다. 영화의 한 장면처럼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실제로도 매우 희귀한 현상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오로라가 발생하는 것 자체가 매우 드물고 그중에서도 붉게 발광하는 현상은 더욱 희귀하다. 로이터 통신은 “북극권 이외 지역에서 오로라를 관측하는 것은 매우 힘들다”면서 “이날 지자기 폭풍 등급은 ‘G4’에 달해 매우 강력한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우주비행사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촬영한 오로라 모습
우주비행사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촬영한 오로라 모습


오로라는 태양 표면 폭발로 우주공간으로부터 날아온 전기 입자가 지구자기(地球磁氣) 변화 때문에 고도 100∼500㎞ 상공에서 대기 중 산소 분자와 충돌해서 생기는 방전현상이다. 오로라의 생성 원리는 TV의 브라운관과도 유사한데, 브라운관이 전기장과 자기장이 만나 여러 색을 만드는 것처럼 오로라도 녹색과 빨간색 등을 여러 색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오로라는 녹색이 많은데 이는 주로 많은 양의 산소와 반응할 때 생성되며 산소가 적고 질소가 많으면 보라와 푸른빛으로 감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0월 덴마크의 한 호수 위에서 관측된 오로라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해 10월 덴마크의 한 호수 위에서 관측된 오로라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특히 오로라는 일반적으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북극권 지역에서 주로 관측되지만 이날은 캐나다와 미국 북부 주의 하늘에도 환상적인 빛이 나풀거렸다. 이처럼 지구촌 많은 지역에서 관측된 이유는 태양의 활동이 극대기이기 때문이다. 태양은 11년을 주기로 활동이 줄어들거나 늘어나는데 지난 2019년 이후 태양은 ‘태양 극소기’(solar minimum)를 끝내고 ‘태양 극대기’(solar maximum)에 들어왔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