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도운 헝가리인 ‘가보르 마자르’ 연구와 기록 통해 마자르 찾은 초머 모세 교수 “한국 도운 헝가리인 있었다는 사실 밝혀 기뻐”
이미지 확대
전 주한 헝가리 대사를 지낸 초머 모세 헝가리 부다페스트 카롤리대 교수. 본인 제공
일제강점기 ‘의열단’을 지원한 것으로 알려진 헝가리인 ‘마자르’의 정체가 100여년 만에 밝혀졌다. 각종 기록을 연구해 마자르의 정체를 밝힌 건 전 주한 헝가리 대사를 지낸 초머 모세(47) 헝가리 부다페스트 카롤리대 교수다.
2018~2022년 주한 헝가리 대사를 지낸 초머 교수는 대사 임기를 마치고 교수로 복귀해 연구에 전념했다. 그는 서울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주한 헝가리 대사를 지내던 2019년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한·헝 수교 30주년 기념 학술 세미나에서 관련 학술 발표를 듣고 연구를 결심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학계에서 ‘마자르’라고 알려졌던 헝가리인 남성은 초머 교수의 끈질긴 연구 끝에 가보르 마자르(‘가보르’는 이름, ‘마자르’는 성)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는 “직감적으로 ‘마자르’가 헝가리인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인물의 성씨라는 것을 확신했다”고 했다.
마자르는 영화 ‘밀정’에서도 헝가리 출신 아나키스트(극중 이름 루비크)로 등장하기도 한다. 폭탄 제조 전문가였던 마자르는 300여개의 폭탄을 한국으로 밀반입하는 데 동참했으며, 1923년 1월 김상옥 열사가 종로경찰서에 던진 폭탄도 그가 제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100여년 전의 인물의 정확한 이름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그에 대한 기록을 찾아내는 건 쉽지 않은 일이었다고 한다. 초머 교수는 한국 작가의 책, 헝가리에 남아 있는 자료 등을 참고해 연구를 이어갔다. 그는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을 도운 헝가리인이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 기쁘다”고 했다.
초머 교수가 연구를 결심하게 된 세미나 현장에 함께 참석했던 장두식 전 단국대 자유교양대학 교수는 “초머 교수에게 헝가리에 돌아간 후에도 관련 연구를 해달라 했는데 드디어 결실을 이뤘다”며 “한국에서는 할 수 없는 연구였는데 초머 교수가 큰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초머 교수는 올가을 한국을 방문해 마자르에 대한 주제로 학술 발표를 한다. 조만간 마자르와 관련한 한국어 논문과 책도 출간할 예정이다. 그는 2023년 본인이 근무 중인 카롤리대에 한국학과를 설치했고, 지금은 한국학과 학과장이 됐다. 현재 헝가리 학생들에게 ‘한헝 관계사’라는 과목을 통해 마자르와 의열단에 관한 내용을 가르치고 있다.
송현주·김주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