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줄고 지출 못 줄여…소득 하위 10% 적자액 70만원 돌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7-22 15:23
입력 2025-07-22 15:23
이미지 확대
21일 대구 중구 동성로 한 상가에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안내문이 붙은 가운데 옆 상가는 폐점한 채 임대 현수막이 게시돼 있다. 2025.7.21 대구 연합뉴스
21일 대구 중구 동성로 한 상가에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안내문이 붙은 가운데 옆 상가는 폐점한 채 임대 현수막이 게시돼 있다. 2025.7.21 대구 연합뉴스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의 월평균 적자 규모가 처음 70만원을 넘어섰다. 내수 부진 등 영향으로 소득이 줄어드는 반면 필수재 소비를 줄이기는 힘들어 살림살이가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가구당 월평균 흑자액은 127만 9000원으로 1년 전보다 12.3% 늘었다. 흑자액은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가계가 실제로 남기는 여유 자금을 의미한다.

계층별로 보면 1분위(소득 하위 10%)의 지난 1분기 흑자액은 -70만 1000원으로 집계됐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더 많아 70만원 적자를 기록했다는 뜻이다. 1분위 적자액은 22.3% 커지면서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9년 이후 처음으로 70만원을 넘었다. 1분기 기준 1분위 적자액은 2023년 69만 6000원으로 70만원에 육박했다가 지난해엔 57만 3000원까지 줄었지만 올해 다시 늘었다.

1분위 가구는 처분가능소득은 줄고 지출은 늘면서 적자액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처분가능소득은 1분기 56만 4000원으로 6.4% 감소했다. 근로소득이 17.2% 늘었지만 사업소득이 30.9% 크게 줄었다. 이전소득도 3.2% 감소했다. 반면 소비지출은 126만 500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7.6% 증가했다.



2분위(하위 10~20%) 적자액 역시 17만 5000원으로 23.4% 늘었다. 반면 3~10분위는 모두 흑자를 냈다. 특히 소득 상위 10%인 10분위 흑자액은 531만원으로 11.7% 증가했다. 8분위와 9분위 흑자액도 각각 23.1%, 10.7% 늘어난 191만 5000원, 264만원을 기록했다.

세종 강동용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