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캄차카 강진에도 동해 바다는 ‘평온’
수정 2025-07-30 14:26
입력 2025-07-30 14:26
/
5
-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30일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에도 강원 강릉시 경포해수욕장에서는 많은 피서객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이날 경포를 비롯한 강원 동해안 해수욕장 대부분은 높은 파도가 없어 수영이 가능한 상태의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25.7.30
연합뉴스 -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30일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에도 강원 강릉시 강문해수욕장은 수영이 가능한 상태의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25.7.30
연합뉴스 -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30일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에도 강원 강릉시 강문해수욕장은 수영이 가능한 상태의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25.7.30
연합뉴스 -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30일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에도 강원 강릉시 경포해수욕장에서는 많은 피서객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이날 경포를 비롯한 강원 동해안 해수욕장 대부분은 높은 파도가 없어 수영이 가능한 상태의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25.7.30
연합뉴스 -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30일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에도 강원 강릉시 강문해수욕장은 수영이 가능한 상태의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2025.7.30
연합뉴스
30일 오전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이 국내에 주는 영향은 사실상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 관계자는 “캄차카반도 강진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지진 규모가 매우 큰 만큼 지속해서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와 캄차카반도 간 거리가 있는 데다가 사이에 일본이 있어 지진해일이 오더라도 약하게 올 수밖에 없다.
실제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는 캄차카반도 강진으로 우리나라 해안에 높이가 조위(潮位)로부터 0.3m 미만인 쓰나미만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쓰나미가 우리나라 동해안에 도달하는 시간은 5∼6시간 후로 예상된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24분께 캄차카반도 동남동쪽 126㎞ 지점에서 규모 8.7의 강진이 발생했다.
USGS와 기상청 자료를 보면 2000년부터 작년까지 전 세계에서 발생한 규모 8.0 이상 지진은 모두 27차례로 연평균 1회 정도 발생한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는 규모 8.0 이상 지진이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론적으로 규모가 1 차이 나는 지진 간 위력 차는 32배다.
국내에서 지진 계기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큰 규모 지진인 2016년 9월 12일 경주 지진의 추정 모멘트 규모는 5.4(리히터 규모 5.8)로 이론상 이번 캄차카반도 지진 위력이 경주 지진보다 약 8만9천배 강하다.
사진은 이날 강원 강릉시 경포해수욕장에서는 많은 피서객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는 모습.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