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다 무너진 노동자들…직장 괴롭힘 트라우마 상담 ‘급증’

이현정 기자
수정 2025-08-03 15:16
입력 2025-08-03 15:16
3년간 트라우마 상담 1만6607건
지난해 56% 급증, 괴롭힘 신고 연 1만건 이상

직장 내 괴롭힘이 해마다 증가하면서 트라우마(정신적 충격)를 호소하는 노동자들도 함께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현장의 중대 사고뿐 아니라 직장 내 성희롱·성폭력 등 다양한 사건을 겪은 노동자들이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3일 산업안전보건공단 직업트라우마센터 상담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트라우마 관련 상담 건수는 모두 1만 6607건이다. 지난해 상담 건수는 6757건으로, 2022년 4320건에서 56.4% 증가했고 2023년(5530건)과 비교해도 22.2% 늘었다.
직업트라우마센터는 중대산업재해, 동료의 자살,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 등으로 트라우마를 겪은 노동자에게 심리 회복과 일상 복귀를 지원하는 공공기관이다. 2018년 대구에 처음 설치된 이후 전국으로 확대돼 현재는 23곳이 운영되고 있다.
상담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산업재해 등 중대사고 관련 상담으로, 지난해 전체 상담의 절반가량인 3214건이었다.
직장 내 괴롭힘·성희롱 관련 상담은 2311건으로 뒤를 이었으며, 이는 2022년(1156건) 대비 두 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고용노동부에 신고된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역시 같은 기간 꾸준히 증가했다. 2022년 8961건이던 신고 건수는 2023년 1만1038건, 2024년에는 1만2253건으로 증가했다. 이와 맞물려 트라우마 상담 수요도 함께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이현정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