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확 앞둔 사과에 탄저병 발생, 사과주산지 경북 북부 재배 농가 비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상화 기자
수정 2025-08-13 13:42
입력 2025-08-13 13:42

안동·영덕 등 과수 농가에 탄저병 발생

이미지 확대
사과주산지 경북 영주 사과밭에 탄저병에 걸린 사과가 나무에 달린 채 썩어 가고 있다. 영주시 제공
사과주산지 경북 영주 사과밭에 탄저병에 걸린 사과가 나무에 달린 채 썩어 가고 있다. 영주시 제공


지난 3월 초대형 산불피해로 경북 북동부지역 과수농가의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난 상황에서 탄저병까지 발생, 지역 사과 재배농가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안동·청송·영양·영덕·의성 등 경북 북동부 산불 발생 5개 시군의 지난해 사과 재배면적이 9362㏊로 전국 면적 3만 3000㏊의 28%를 차지해 탄저병이 확산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경북도는 최근 폭염과 잦은 강우로 인해 도내 사과 재배지에 탄저병 발생 및 확산이 우려됨에 따라 철저한 사전 방제를 당부했다고 13일 밝혔다.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강수량이 지역에 따라 30~40% 더 늘어 탄저병 발병에 좋은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여 걱정이 더 크다는 것이다.

특히 안동시와 영덕군은 지난달과 이달 일부 과수 농가에서 생산을 앞둔 사과가 탄저병에 감염됐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사과 탄저병 발생 초기에는 과실에 검은색 작은 반점이 나타나며 이후 병이 진행될수록 감염부위 표면이 움푹 들어가고 갈색으로 변한다.

도는 탄저병이 눈에 보일 경우 약제살포만으로 방제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전 방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탄저병 감염 사과가 발견될 경우 따로 분류해 과수원 밖에 묻어야 하고, 살균제 살포가 병행돼야 한다. 약제 살포방식은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확인 가능하다.



경북은 지난 3월 말 발생한 산불로 사과밭 1560㏊가 불에 탔다. 이어 3월 말∼4월 초 과수꽃이 피는 시기에 나타난 이상저온으로 총 6566.3㏊에 피해가 발생했다. 이 중 사과가 5004.1㏊나 된다. 지난 5월 28일엔 우박이 5∼20분 동안 떨어져 사과 84㏊에 피해가 생기기도 했다. 여기에 탄저병까지 겹치면서 올해 또다시 ‘사과파동’이 발생할 거란 우려도 나온다.

안동 김상화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