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천시, 지역 출신 왕평 선생·신성일 배우 재조명 사업 활발
김상화 기자
수정 2025-08-19 13:54
입력 2025-08-19 13:54

경북 영천시와 문화예술단체가 지역 출신 문화예술인 재조명 사업에 적극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영천시와 한국예술인총연합회 영천지회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공고한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후보자’로 왕평 선생을 추천했다고 19일 밝혔다. 2022년 첫 시도 이후 이번이 4번째다.
왕평(1908~1940) 선생은 영천 출신으로 ‘황성옛터(원명·황성의 적)’ 작사 등을 통해 일제 강점기 민족의 애환과 정서를 대변한 대중문화운동가다. 그는 33세의 짧은 생애 동안 작사, 연극, 만담 등 다양한 예술 영역에서 활동하며 190여편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1928년 발표한 “황성 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란 작사곡 황성옛터는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에게 큰 위안과 저항정신을 심어 준 대중가요의 백미로 꼽힌다.

시는 또 시내 괴정동에 한국 영화계의 큰 별이었던 영화배우 고 강신성일(신성일·1937~2018)을 기리는 기념관을 건립하고 있다. 기념관은 9946㎡의 부지에 전시실, 수장고, 체험시설, 사무실 등을 포함한 연면적 1151㎡ 규모(지상 2층)의 건축물과 야외 포토존, 주차장 등을 갖춘다. 오는 11월 준공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달 지난 25일 시청 회의실에서 ‘신성일 기념관 전시설계 및 전시물 제작·설치 완료보고회’를 가졌다. 주요 전시공간으로는 ▲배우 신성일의 대표작과 연기 인생을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는 ‘실감 영상관’ ▲실제 소품과 유품으로 구성된 ‘스토리형 상설전시관’ ▲관람객이 직접 영화 제작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존’ 등이 포함된다.
대구가 고향인 영화 배우 신성일씨는 2007년 영천으로 이주한 뒤 2018년 11월 81세로 별세할때까지 영천시 괴정동 성일가에서 살았다.
영천 김상화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