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 농민단체 면담하는 김민석 국무총리
수정 2025-07-04 16:30
입력 2025-07-04 16:30
/
11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와 면담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의 의견을 듣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의 의견을 듣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와 면담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의 의견을 듣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와 면담을 하는 중 무더위에 상의를 벗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의 의견을 수첩에 적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와 면담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4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와 악수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4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와 악수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
김민석 국무총리가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항의 집회 중인 농민단체와 면담하기 위해 집회장소를 방문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농업4법’을 ‘농망4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송 장관이 물러날 때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2025.7.4.
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는 4일 “새 정부에서도 지난 정부의 장관을 한 분 정도는 유임하는 것이 전체 국민통합이라는 흐름을 봐서 의미가 있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장을 받은 직후 대통령실 맞은편의 전쟁기념관 앞 보도에서 농성 중인 농민단체 대표들을 면담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들 단체는 농민 생존권 보장에 필요하다고 주장해온 ‘농업4법’(양곡관리법·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법·농어업재해대책법·농어업재해보험법)을 ‘농망4법’(농업을 망치는 4개 법)이라고 했던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을 반대하며 집회를 벌이고 있다.
김 총리가 임명 후 첫 공개 일정으로 농민 단체를 찾은 것은 내각 총사령탑으로서 농심(農心)을 달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통합 차원에서 전 정부 각료를 유임시키는 파격을 취했지만, 송 장관과 농민들이 전 정부에서 각을 세웠던 터라 이런 갈등을 해소해야 할 필요성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김 총리는 약 1시간에 걸친 면담에서 농민단체 대표들의 의견을 경청하면서도 송 장관의 유임 배경을 납득시키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었다.
농성장 돗자리에 신발을 벗고 들어가 착석한 뒤 수첩과 만년필을 꺼내 메모하고, 더운 날씨에 양복 상의를 탈의하거나 넥타이를 푸는 모습도 보였다.
김 총리는 “100% (농민들의) 마음에 공감이 된다”며 “충분히 문제 제기하는 것이 이해가 간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대통령이 식량 주권, 식량에 대한 안보, 농업 주권에 대한 인식이 강하고, 또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농정을 직접 챙겨야 한다는 문제의식도 강하다”며 “새 정부의 정책에 대해 아직은 불신하지 말아 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또 “송 장관도 아마 유임 선택을 본인이 받아들이고 결심하기가 쉽지만은 않았을 것이라고 짐작한다”면서도 “그런 입장에 처한 장관이라면 저는 이런 문제 제기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하고, 왜 나오는가 이해하고, 표현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도 (송 장관을) 뵙게 되면 거취 문제와 상관없이 (이런) 말씀을 드리겠다”고 약속했다.
김 총리가 임명 직후 첫 공식 일정으로 ‘농심 달래기’에 나서면서 본격적인 국정 행보를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