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136명 수몰’ 日해저탄광서 머리뼈 발견

명희진 기자
수정 2025-08-27 00:04
입력 2025-08-27 00:04
넓적다리뼈 등 83년 만에 수습
“옷 입고 누워 있는 물체도 있었다”
시민단체 “한일 정부 나서길 촉구”
日정부 “조사 지원 어렵다” 고수

재일동포 김마사노리씨 엑스(X) 캡처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 136명 등이 숨진 일본 조세이 해저탄광에서 26일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머리뼈가 발견됐다. 사고가 발생한 지 83년 만이다.
시민단체 장생(조세이)탄광 희생자 귀향 추진단은 이날 오후 2시쯤 혼슈 서부 야마구치현 우베시 조세이 탄광 사고 현장에서 수중 조사를 통해 두개골 1점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이곳에서는 전날에도 넓적다리뼈 등 사람 뼈로 추정되는 물체가 3점 발견됐다.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이하 새기는 모임)은 두개골이 흙에 절반 정도 파묻혀 있었으며, 조사 지점에 옷을 입고 누워 있는 듯한 물체도 있었다고 전했다.
추진단과 새기는 모임 등은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지난해 9월부터 조세이 탄광에서 유골 찾기 운동을 시작했다. 지금까지 수중 조사를 맡아 왔던 이사지 요시타카는 “유골을 수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새기는 모임은 이날 수습한 물체도 감정을 위해 경찰에 인도했다.
추진단은 성명을 내고 “양국 시민단체의 노력으로 83년을 해저에서 기다리던 유골을 물 밖으로 모셨다”며 “시민들의 노력으로 유골이 발견됐으니, 이제 양국 정부가 나서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조세이 탄광 참사는 1942년 2월 3일 우베시 해안에서 약 1㎞ 떨어진 해저 지하 갱도에서 발생했다. 갱도 누수로 시작된 수몰 사고로 조선인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모두 183명이 사망했다. 지금까지도 희생자 수습과 사고 경위를 둘러싼 진상 규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는 유골 매몰 위치가 분명하지 않고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이유 등을 들어 지원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후쿠오카 다카마로 일본 후생노동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새로운 견해를 얻지 못해 (재정 지원) 검토는 추진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도쿄 명희진 특파원
2025-08-2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