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러, 휴전 돌입한 척 진격 시도”…러 반응 보니 [핫이슈]

윤태희 기자
수정 2025-04-20 16:56
입력 2025-04-20 16:56

러시아군이 전반적으로 휴전에 들어간 듯한 인상을 심어주려고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우크라이나로 진격을 시도하고 있다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오전 6시 현재 최전선에 있는 (올렉산드르) 시르스키 총사령관으로부터 받은 보고”라면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오늘만 해도) 이미 전선 여러 방향에서 러시아군이 59차례 포격과 5차례 공격을 감행했다”면서 “스타로빌스크 OTG(작전전술그룹) 구역에서 1건, 도네츠크 OTG 구역의 포크롭스크와 노보파블리우카 방향에서 3건, 자포리자 방향의 스테포브 근처에서 1건의 전투가 보고됐다. 적은 FPV 드론으로도 수십 차례 공격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제(19일) 오후 6시부터 오늘 0시까지도 러시아군은 387차례 포격을 가하고 19차례 공격을 감행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도 부활절인 이날 우크라이나군이 도네츠크주를 공격했다고 군사작전을 담당하는 당국을 인용해 보도했다. 도네츠크는 러시아가 점령해 합병을 선언한 우크라이나 동부로 우크라이나전 이후 교전이 멈춘 적이 없던 지역이다.
타스는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이 부덴노우스키 구역에 있는 엘레바토르나이아 거리 인근에서 일어났다고 최소 세 차례 폭발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러시아가 독립국이자 자국 연방의 일원으로 선언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을 인용해 고를로프카에서 4차례 포격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인도적 이유를 들어 19일 오후 6시부터 21일 0시까지 30시간 부활절 휴전을 선언한 바 있다.
이번 휴전은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세 번째 사례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2023년 1월 러시아정교회의 크리스마스 기간에도 휴전을 선언했다. 다만 당시 우크라이나는 푸틴의 휴전 선언이 러시아군에 대한 우크라이나군의 공세를 막기 위한 속임수였다고 주장했다.
이날 푸틴 대통령의 휴전 선언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상공에 러시아의 공격용 드론이 포착됐고, 이에 따라 수도 키이우를 포함한 각 지역에서 공습경보가 울렸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방공망을 가동해 러시아 드론을 향해 대응 사격을 가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의 말은 믿을 수 없다”며 “러시아가 어떻게 사실을 조작하는지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모든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공격에는 우크라이나도 똑같이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30일간 휴전을 하자는 우크라이나의 기존 제안은 유효하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선언한 30시간 휴전이 아닌, 실질적인 휴전에 합의하자는 것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30시간은 언론 보도를 위한 시간이지 신뢰를 구축하기에 부족한 시간”이라며 “30일이면 평화를 위해 노력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