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반대편 생명 살렸다”…1만㎞ ‘세계 최장 거리’ 원격 수술 화제

윤규랑 기자
윤규랑 기자
수정 2025-06-23 11:02
입력 2025-06-23 11:02
이미지 확대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비풀 파텔 박사가 1만km 넘게 떨어진 남아프리카 앙골라의 암 환자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사진=Society of Robotic Surgury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비풀 파텔 박사가 1만km 넘게 떨어진 남아프리카 앙골라의 암 환자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사진=Society of Robotic Surgury


미국 플로리다주의 의사가 1만㎞ 넘게 떨어진 남아프리카 앙골라에 있는 암 환자 수술을 성공적으로 집도해 화제가 되고 있다. 역대 최장 거리 원격 수술 사례다.

ABC뉴스 등 외신은 올랜도 셀레브레이션에 위치한 어드벤트헬스 병원 산하 글로벌 로봇공학 연구소 의료 책임자인 비풀 파텔 박사가 앙골라에 거주하는 전립선암 환자 페르난도 다 실바의 로봇 원격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지난 19일 보도했다. 다 실바는 지난 3월 전립선암 진단을 받았다.

이번 수술은 미국 식품의약청(FDA)이 승인한 임상시험의 일환으로, 대륙을 넘어 원격으로 로봇수술을 시행하는 기술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도였다.

이미지 확대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비풀 파텔 박사가 1만km 넘게 떨어진 남아프리카 앙골라의 암 환자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로이터 캡처
미국 플로리다주에서 비풀 파텔 박사가 1만km 넘게 떨어진 남아프리카 앙골라의 암 환자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로이터 캡처


수술은 앙골라 수도 루안다에 위치한 복합병원(CHDC)에서 진행됐다. 파텔 박사는 플로리다에서 첨단 로봇 수술 시스템과 고속 광섬유 인터넷을 이용해 약 1만 1000㎞ 떨어진 수술실에 있는 환자를 원격으로 집도했다.

전립선 절제술은 전립선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는 수술이다. 최근에는 정교한 로봇 수술 시스템이 도입돼 수술 정확성과 회복 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어드벤트헬스 병원 산하 글로벌 로봇공학 연구소의 의료 책임자인 비풀 파텔 박사. 사진=Society of Robotic Surgury
어드벤트헬스 병원 산하 글로벌 로봇공학 연구소의 의료 책임자인 비풀 파텔 박사. 사진=Society of Robotic Surgury


파텔 박사는 2만건 가까운 로봇 수술 경험을 가진 전문가다. 수술 당시 현지 의료진과 협력해 만일의 상황에도 대비했다. 파텔 박사는 “환자 곁에 현지 외과팀(외과의, 마취과 의사, 간호사, 엔지니어, 파텔 박사 팀원 한 명)을 뒀다. 통신에 문제가 생겨도 안전하게 수술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여러 대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다 실바는 3일 뒤 귀가했다.

파텔 박사는 “이번 수술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소외 지역에도 고품질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도주의적 도약”이라며 “원격 수술 기술이 앞으로 전 세계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앞으로는 원격 수술이 구급차 안에서도 가능해질 것”이라며 “기술이 상용화되면 병원에 갈 수 없는 환자들도 원격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윤규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