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태위태’ 자포리자 원전…젤렌스키 “7일 단전돼 상황 매우 위급” 경고 [핫이슈]

박종익 기자
수정 2025-10-01 14:36
입력 2025-10-01 14:36

단일 시설로는 유럽 최대 규모인 우크라이나 남동부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에 또다시 위기감이 돌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연설에서 “러시아가 점령한 자포리자 원전에 1주일 동안 전력 공급이 중단돼 위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이제 7일이 지났으며 과거에 이런 일은 없었다. 상황이 매우 위급하다”고 경고했다.
이어 “러시아의 포격으로 발전소 전력망이 차단됐으며 현재 디젤 발전기로 전력을 공급받고 있다”면서 “운영에 필요한 백업 디젤 발전기 중 하나가 고장났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전 세계 어떤 테러리스트도 러시아가 지금 하는 것과 같은 일을 감히 원전에 저지른 적은 없다”면서 “세계는 침묵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도 이 사실을 일부 인정했다. 다만 그는 “자포리자 원전 전력망을 신속하게 재연결하기 위해 양측과 지속해 연락하고 있다”면서 “현재 원전은 비상 디젤 발전기 덕에 대처하고 있어 즉각적인 위험은 없지만 지속 가능한 상황은 분명 아니다”고 밝혔다.
사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은 개전 이후 지금까지 상대방이 자포리자 원전을 공격해 핵 재앙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고 비난해왔으며 최근에도 정전 문제를 놓고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자포리자 원전은 원자로 6기를 갖춘 유럽 최대 원전으로 우크라이나 동남부 자포리자 주 에네르호다르에 있다. 특히 자포리자 원전은 러시아와의 전쟁 이후에도 한동안 가동되면서 한때 양측의 전투로 외부 전력 공급이 여러 차례 중단되는 등 위험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다만 2022년 9월 자포리자 원전은 가동을 중단했으나 원자로 내부에 핵연료는 여전히 냉각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전력 공급이 꼭 필요하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