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돔’ 만든다던 라이칭더…대만 안팎 “꿈 크지만 현실은 멀다”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10-13 17:42
입력 2025-10-13 17:42

다층 방공체계 ‘대만의 방패’ 추진에 전문가 “비대칭 전략과 충돌·비용 부담도 커”

이미지 확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2025년 3월 21일 타이베이 쑹산 공군기지를 방문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2025년 3월 21일 타이베이 쑹산 공군기지를 방문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친미·독립’ 성향의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내세운 ‘대만판 아이언돔 구축’ 계획을 둘러싸고 현실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13일 대만 연합보 등 현지 언론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라이 총통은 지난 10일 이스라엘의 ‘아이언돔’에 준하는 다층형 방공체계 ‘대만의 방패’(T-돔) 구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의 미사일·드론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보다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방공망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비대칭 전략과 충돌…비용·효율 모두 의문”
이미지 확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부인 우메이주 여사와 함께 2025년 10월 10일 타이베이에서 열린 국경일 기념식 연설 중 대만 국기를 흔들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부인 우메이주 여사와 함께 2025년 10월 10일 타이베이에서 열린 국경일 기념식 연설 중 대만 국기를 흔들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하지만 대만 내 전문가들은 라이 총통의 발표가 군과 사전 협의 없이 나온 ‘정치적 제스처’에 가깝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T-돔이 실질적으로 작동하려면 탐지·요격·통제 체계가 완벽히 통합돼야 하지만, 대만의 기술·예산 여건상 난도가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대만 국방부 전 관리인 루더윈은 “중국의 군사력이 대만을 압도하는 상황에서 한정된 자원을 고비용 방어망에 쏟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비대칭 전력’에 집중해야 억제력이 유지된다”고 말했다.

비대칭 전력은 기습·침투·드론 타격 등 상대의 약점을 노리는 저비용 전투 방식으로, 대만이 오랫동안 표방해온 전략이다.

비용 문제도 제기된다. 저가형 공격 드론을 요격하기 위해 고가의 미사일을 사용하는 사례가 이미 논란이 된 바 있다.

한 군사전문가는 “1만 달러(약 1400만원)짜리 드론을 200만 달러(약 28억5000만원)짜리 미사일로 격추시키는 일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탐지부터 요격까지 통합”…대만 국방부는 ‘T-돔’ 방어력 자신이에 대해 구리슝 대만 국방부장은 같은 날 의회에서 “T-돔은 단순한 요격체계가 아니라 탐지부터 정밀타격까지 연결하는 통합 방공 시스템”이라며 “신속한 대응으로 요격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그는 “통합이 이뤄지면 자원 배분과 화력 운용이 효율화되고, 기동성과 생존확률이 높은 전력 조달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연말쯤 T-돔 구축을 위한 특별예산안이 의회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대만의 방공망은 미국제 패트리엇 미사일, 자국산 톈궁 미사일, 저고도 요격용 스팅어 미사일 등이 중심이다.

이미지 확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국제항공우주·방산전시회(TADTE 2025)에서 공개된 신형 치앙궁 요격미사일(왼쪽)과 이동식 발사대. 이번 전시회에는 미국·프랑스·독일 등 14개국 400여 개 업체가 참가했다. 2025.9.18 EPA 연합뉴스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국제항공우주·방산전시회(TADTE 2025)에서 공개된 신형 치앙궁 요격미사일(왼쪽)과 이동식 발사대. 이번 전시회에는 미국·프랑스·독일 등 14개국 400여 개 업체가 참가했다. 2025.9.18 EPA 연합뉴스


여기에 고고도 요격용 치앙궁 미사일을 자체 개발 중이며, T-돔은 이 모든 체계를 하나로 묶는 ‘다층형 방공 구조’로 구상된다.

그는 “T-돔은 대만이 추진 중인 비대칭 전력 전략의 연장선”이라며 “중국보다 작은 병력을 민첩하고 정밀하게 운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라이 총통은 지난 대선에서 국방비를 2030년까지 국내총생산(GDP)의 5%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중국은 여전히 무력 통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스텔스 전투기와 항모 전력 확충도 병행하고 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