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백악관 발표 도중 ‘졸음왕’ 논란…10초 해프닝에 성과도 묻혀 [핫이슈]

윤태희 기자
윤태희 기자
수정 2025-11-10 15:41
입력 2025-11-10 15:41

체중 감량 약물 가격 대폭 인하 협약 발표 중 참석자 돌연 쓰러져
WP “정책보다 장면이 더 남았다”…백악관 “역대급 약값 인하” 해명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협약을 발표하던 중 한 참석자가 쓰러진 뒤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인기 GLP-1 비만치료제의 대폭 할인 판매를 합의했다고 밝혔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협약을 발표하던 중 한 참석자가 쓰러진 뒤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인기 GLP-1 비만치료제의 대폭 할인 판매를 합의했다고 밝혔다. AFP 연합뉴스


이달 초 미국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체중 감량 약물 가격 인하 정책 발표 도중 한 참석자가 갑자기 쓰러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주재한 자리였지만 불과 10초 남짓의 돌발 상황이 정책 발표보다 더 큰 주목을 받았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9일(현지시간) “이 장면이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 약값 인하 성과를 완전히 덮었다”고 보도했다.

약값 내린 ‘역대급 발표’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체중 감량 약물 가격을 대폭 인하하는 협상 결과를 공개했다. 제약사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가 각각 비만치료제 위고비와 젭바운드의 가격을 낮추고 노인 건강보험(메디케어) 적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백악관은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약값 인하 조치”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비만과 당뇨병 관련 치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10초 사고가 만든 논란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던 중 한 참석자가 쓰러지자 관계자들이 급히 부축하고 있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을 낮추는 협약을 체결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던 중 한 참석자가 쓰러지자 관계자들이 급히 부축하고 있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을 낮추는 협약을 체결했다. EPA 연합뉴스


행사 시작 30분쯤 지나 초청된 60대 남성이 갑자기 바닥에 쓰러졌다. 그는 일라이릴리가 자사 약물을 복용한 환자로 초대한 인물이었다.

일부 방송과 소셜미디어(SNS)는 그를 제약사 간부로 잘못 보도했다. 현장에 있던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장관이 급히 밖으로 나가자 “책임을 회피했다”는 비난이 이어졌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 발표 도중 쓰러진 참석자 쪽으로 몸을 숙여 상황을 살피고 있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을 대폭 낮추는 협약을 체결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 발표 도중 쓰러진 참석자 쪽으로 몸을 숙여 상황을 살피고 있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을 대폭 낮추는 협약을 체결했다. EPA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하던 중 쓰러진 참석자에 대한 상황을 보고받고 있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을 낮추는 협약을 체결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하던 중 쓰러진 참석자에 대한 상황을 보고받고 있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는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을 낮추는 협약을 체결했다. EPA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앞을 응시한 채 반응하지 않는 듯한 사진도 퍼졌다. 그러나 백악관은 “이는 오해”라며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뒤편에서 진행되는 응급조치를 확인했고 사진은 그 직후 짧은 순간을 포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행사 요원들이 참석자들을 밖으로 안내하자 대통령도 그쪽을 향해 시선을 돌렸다”고 덧붙였다.

의사 출신으로 메디케어·메디케이드 관리청(CMS)을 이끄는 메흐메트 오즈 박사가 즉시 환자에게 응급조치를 취했고 남성은 곧 회복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환자의 아내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안심시켰다고 한다.

‘졸음왕’ 논란…역설의 장면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협약을 발표하던 중 눈을 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사 내내 피로한 모습을 보였고 현장 영상이 공개되면서 ‘졸음왕’ 논란이 일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협약을 발표하던 중 눈을 감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사 내내 피로한 모습을 보였고 현장 영상이 공개되면서 ‘졸음왕’ 논란이 일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보건장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발언을 들으며 눈가를 만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했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보건장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발언을 들으며 눈가를 만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등 제약사들과 비만치료제 가격 인하 합의를 발표했다. AFP 연합뉴스


이날 돌발 상황이 벌어지기 전 트럼프 대통령은 약 20분 동안 눈을 감거나 고개를 숙인 채 피로한 모습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는 복수의 영상 분석 결과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회의 내내 졸음을 참으려는 듯 눈을 감고 자세를 고쳐 앉는 모습이 반복됐다”고 전했다.

백악관은 “대통령은 잠든 것이 아니라 행사 내내 발언하고 기자들의 질문에도 답했다”며 “이번 조치는 당뇨병과 비만 등으로 고통받는 미국인을 위한 역사적 인하”라고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을 ‘졸린 조’(Sleepy Joe)라 부르며 조롱해 왔지만 이번 영상이 공개된 뒤 민주당 인사들은 “이제 트럼프가 졸음왕(The Nodfather)이 됐다”고 맞받았다.

풍자와 조롱에 묻힌 정책이 장면은 정치 풍자 프로그램과 SNS에서 빠르게 확산됐다. NBC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는 세 차례에 걸쳐 해당 사건을 패러디하며 “약값을 내린다는 생각만으로도 쓰러질 일”이라고 조롱했다.

민주당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을 ‘졸음왕’이라 부르며 행사 중 졸았다고 비꼬았다. 백악관은 “대통령은 피로하지 않았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정책 성과는 뒷전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정책적 성과를 강조했다. 행정부는 “이번 조치가 미국 약값 역사에서 가장 큰 전환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구체적인 인하 폭과 적용 범위가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NBC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가 공개한 패러디 영상에서 ‘백악관 실신 장면’ 속 트럼프 대통령이 정면을 응시하며 반응하는 순간을 재현하고 있다. 실제 장면을 풍자한 이 영상은 “약값 인하 발표 중 참석자 쓰러짐” 에피소드를 희화화하며 화제를 모았다. NBC ‘SNL’ 엑스(X) 영상 캡처
NBC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SNL)가 공개한 패러디 영상에서 ‘백악관 실신 장면’ 속 트럼프 대통령이 정면을 응시하며 반응하는 순간을 재현하고 있다. 실제 장면을 풍자한 이 영상은 “약값 인하 발표 중 참석자 쓰러짐” 에피소드를 희화화하며 화제를 모았다.
NBC ‘SNL’ 엑스(X) 영상 캡처


결국 ‘무엇을 발표했는가’보다 ‘어떻게 보였는가’가 더 큰 이슈로 남았다. 워싱턴포스트는 “정책보다 이미지가 더 오래 남은 백악관 행사였다”고 평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