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영남’ 없는 與 원내지도부

이영준 기자
수정 2016-12-20 00:21
입력 2016-12-19 22:32
崔게이트 여파 영남권 의원 ‘유탄’…핵심 3인방 모두 비영남권 출신

역대 대표와 원내대표단 3인방의 출신 지역을 살펴보면 그동안 새누리당 내 영남권 의원들의 파워가 막강했음을 알 수 있다.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한나라당에 이어 새누리당으로 당명은 바뀌어 왔지만 ‘영남당’이라는 인식은 변하지 않았다. 지금도 영남 지역구 의원은 당 소속 의원 128명 가운데 52명(40.6%)으로 당내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국회의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로 ‘영남 출신’은 이제 ‘정치적 주홍글씨’쯤으로 여겨지는 분위기다. 야권은 비선 실세 국정 농단 사태와 관련해 “새누리당도 공범”이라며 그 책임을 여당에 지우고 있다. 박 대통령을 배출했으니 책임을 지라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박 대통령과 지지 기반이 겹치는 영남권 의원들을 향한 정치적 공세가 유독 거센 양상이다. 한 재선 의원은 “정 원내대표가 일단 소나기는 피하고 봐야 한다는 생각으로 원내수석부대표에 영남권 의원을 임명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치권이 ‘최순실 사태’ 국면을 벗어나 대선 국면으로 접어들면 새누리당 내 영남권 의원들이 다시 기지개를 켤 것으로 예상된다. 전통적 지지기반인 영남권 민심을 얻지 못하면 정권 재창출이 사실상 물 건너 가기 때문이다.
차기 비상대책위원장을 어느 지역 출신이 맡게 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현재 “당의 강도 높은 혁신을 위해 영남권 출신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선 안 된다”는 주장과 “어떤 인물인지가 중요하지 출신 성분은 큰 의미가 없다”는 의견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6-12-2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