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연대”… 썸타는 국민의당·바른정당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수정 2017-05-15 00:19
입력 2017-05-14 22:14

거대정당 틈새 중소2野 생존 모색

5·9 대선이 끝나자마자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론’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정치권이 뒤숭숭하다. 정계 개편의 단초가 될지, ‘간 보기’만 하다 끝날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李총리 후보자 첫 출근… 국무위원 제청 이번주 대통령과 협의
李총리 후보자 첫 출근… 국무위원 제청 이번주 대통령과 협의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14일 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이날 사무실에 첫 출근한 이 후보자는 국무위원 제청과 관련해 “헌법과 법률에 명시된 (총리로서의) 의무를 당연히 이행할 것”이라면서 “아마 이번 주 중에 (대통령과) 협의의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통합론에 불을 댕긴 사람은 국민의당 주승용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다. 주 권한대행은 지난 12일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원내 60석을 확보하면 ‘캐스팅보트’ 정당으로서 국회 운영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같은 당 안철수 전 대선 후보도 공감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대선 직후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당에, 자유한국당은 바른정당에 각각 손을 내밀었다. 두 거대 정당이 ‘2중대’ 격인 두 정당을 인수·합병(M&A)해 세를 불리려 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당은 민주당으로의 이탈과 한국당의 세력 확장을 동시에 막을 수 있는 ‘양수겸장’ 전략으로 바른정당과의 통합 카드를 꺼낸 것으로 보인다. ‘원심력’을 차단하면서 ‘구심력’을 강화하는 전략인 셈이다.

실제 국민의당 내 중진 의원 사이에는 바른정당과의 통합·연대론이 ‘흡수론’의 형태로 상당히 확산된 형국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14일 “바른정당이 한국당으로 넘어가기 전에 주도적으로 껴안으면 호남에 이어 영남·수도권까지 세력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 일각에서는 ‘통합’이 아닌 ‘연대’만으로도 국정 주도권을 충분히 쥘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바른정당은 ‘통합’과 ‘자강’(自强)이라는 두 갈래 길 앞에서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먼저 유승민 전 대선 후보는 지난 13일 대구 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에서 사실상 ‘자강의 길’을 택했다. 그는 “우리는 좁은 문으로 들어와 좁고 울퉁불퉁한 길을 가고 있지만 이 길을 끝까지 가야 희망이 있다”면서 “우리 자신을 헐값에 팔아버리면 미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당이 보수의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다고 확신한다”면서“유불리를 생각하지 않고 노력하면 언젠가는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 내부에는 통합·연대를 통해 생존의 길을 열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만만찮다. 국민의당과 공조하지 않고선 민주당과 한국당 가운데 어느 정당과도 수(數) 싸움에서 맞서기가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바른정당은 15~16일 강원 고성에서 국회의원·원외위원장 연찬회를 열고 당의 진로 문제를 놓고 집중 토론을 벌이기로 했다. 현재로선 뾰족한 해답을 도출해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두 정당의 ‘썸타기’도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7-05-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