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의회, 이동환 시장 내민 손 끝내 거부

한상봉 기자
수정 2024-03-19 13:36
입력 2024-03-19 13:36
15일 일정 임시회 열었으나 안건 토론없이 산회
이에 따라 지역 상품권 사업의 중단 사태가 장기화하고 다음 달 국제행사 개최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추경안에는 지역사랑상품권(고양페이) 할인 비용 61억원,도시기본계획 재수립 용역 등 8억원,국립통일정보자료센터 부지 설계 변경비 8억원,시 공무원 및 시의회 업무추진비 28억원 등 399억원의 사업이 담겨 있었다.
업추비 갈등으로 ‘지역상품권’ 중단 장기화
내달 26일 개막 국제꽃박람회도 차질 우려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고양페이 사업은 예산 심의가 늦어져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유일하게 중단됐다. 30개국 대사급 해외인사들이 참여하는 4월 26일 고양국제꽃박람회 개막 행사도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행사 당일 주요 참석자들에 대한 식음료 등의 의전 예산을 사용할 수 없는 데다, 5500대 규모의 주차장 임대 비용도 확보 못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바이오특화단지,일산테크노밸리,노후계획도시 정비 등 굵직한 현안을 처리하려면 관련 예산을 빨리 확보해야 한다”면서 “시의회가 지역 발전과 시민 이익을 위해 대승적인 협력을 해주기를 바랐으나, 허사였다”고 말했다.
시의회는 ‘고양시 서울 편입 이행촉구 결의안’을 요구한 국민의힘과 민생예산에서 업무추진비를 빼달라는 민주당이 사사건건 충돌하다가 추경안 심의를 끝내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지난해 말 부터 업무추진비와 해외출장비,각종 용역 예산 등을 상호 보복삭감하며 갈등을 빚어왔다. 그러나 최근 이 시장 비서실장이 바뀐 후 대화를 요청하고 간담회를 갖는 등 교착국면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해왔다.
이어 지난 달 23일 시의회 다수가 요구해온 고양페이 61억원이 포함된 2024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승인 요청했었다.
한상봉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