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구례서 제77주기 여순사건 합동 추념식 거행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임형주 기자
수정 2025-10-19 16:08
입력 2025-10-19 16:08

김민석 총리·정청래 대표 등 주요 인사와 유족 참석
평화의 종 7회 타종, 헌화·분향, 추모 공연 순 진행

이미지 확대
19일 구례군 지리산역사문화관에서 열린 ‘여순사건 제77주기 합동추념식’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왼쪽부터), 김영록 전남도지사, 정청래 민주당 대표, 용혜인 기복소득당 대표,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가 묵념을 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19일 구례군 지리산역사문화관에서 열린 ‘여순사건 제77주기 합동추념식’에서 김민석 국무총리(왼쪽부터), 김영록 전남도지사, 정청래 민주당 대표, 용혜인 기복소득당 대표,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가 묵념을 하고 있다. (전라남도 제공)


제77주기 여순사건 합동추념식이 19일 전남 구례 지리산역사문화관에서 거행됐다.

추념식에는 박선호 여순항쟁유족총연합 상임대표를 비롯한 유족 등 800여명과 김민석 국무총리, 김영록 전남도지사,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 등 주요 인사와 지역 단체장들이 참석했다.

이번 추념식은 여순사건 7년의 기간과 77주년의 의미를 담아 평화의 종 7회 타종과 함께 묵념으로 시작됐고 이어 경과보고와 영상, 헌화·분향, 추념사, 유족 사연 낭독, 추모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평화 메시지 낭독은 철학자 도올 김용옥 선생이 직접 참석해 “평화는 동시에 비극의 가치를 보존하고 있다”며 “여순반란을 여순민중항쟁으로 새롭게 인식하는 오늘에 이르러서야 우리는 빛의 혁명을 소리치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추념식은 특별법 제정 이후 네 번째 정부 지원 행사로, 국가 차원의 공식 추모와 화해의 의지를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다시는 국가 폭력으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대통령으로서 엄중한 책임 의식을 갖고, 이를 막기 위한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정부 대표 추념사를 통해 “정부는 여순사건이 온전한 진실로 드러날 때까지 진상조사기획단을 통해 진실을 낱낱이 규명하겠다”며 “희생자와 유가족분들에 대한 심사도 기한에 마무리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추념사에서 “여순사건이 대한민국 최초의 계엄령으로 이어진 국가폭력의 시작이었다”며 “진실규명은 단지 과거를 바로잡는 일이 아니라 국민이 국가의 주인임을 확인하고 다시는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미래를 지키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임형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