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공공건설 70% 외지업체 수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수정 2025-10-24 22:51
입력 2025-10-24 22:51

최근 5년 간 관내업체 수주율 32% 불과
김민숙 시의원 “지역 건설산업 보호해야”

이미지 확대
김민숙 고양시의원
김민숙 고양시의원


경기 고양시의 공공건설사업이 외지 대형업체 중심으로 집행되면서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가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민숙 고양시의원은 24일 열린 제298회 임시회 5분 발언에서 “건설산업은 지역경제를 움직이는 핵심 기반 산업인데, 관내 업체들이 경영난을 겪는 상황에서 공공 발주 시장까지 외지 업체에 잠식되면 지역 기반이 붕괴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고양시 주요 부서의 건설기술용역 발주액은 약 732억 원으로, 이 가운데 관내업체 수주액은 32.4%인 약 237억 원에 그쳤다. 반면 관외업체는 67.5%인 약 494억 원을 차지했다.

특히 1억 원 이상 사업의 경우 불균형이 심각했다. 총 76건 가운데 관내업체가 수주한 건수는 14건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시가 법령 준수를 이유로 사업 금액을 1억 원 이상으로 묶으면서 관내 업체의 수의계약 기회를 스스로 제한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3년간 안전점검 용역의 관내 수주 비율이 용인시 80% 이상, 시흥시 100%에 이르는데 고양시는 20%대에 머물렀다”며 “이로 인해 관내 점검업체 4곳이 타지역으로 이전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대안으로 ▲대형 공공사업의 분할발주 확대 ▲관내업체와 대형건설사 간 상생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관내업체가 배제된 대규모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공공사업의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며 “집행부가 지역 건설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할 수 있는 실질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상봉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