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최첨단 교육시스템 도입… 3월부터 ‘스마트 스쿨’ 대변신
수정 2012-01-13 00:34
입력 2012-01-13 00:00
선생님은 전자칠판에 글씨 쓰고 학생들은 스마트패드로 배우고
“띵동”~ ‘따님이 학교 교문을 통과했습니다.’ 세종시 첫마을 주민 이모(40)씨의 휴대전화에 문자 메시지가 막 도착했다. 이씨의 딸 박꽃님(10)양은 첫마을 참샘초등학교 4학년이다. 이씨는 올 3월 이 학교가 개교한 뒤 매일 아침 딸의 등교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려 주는 문자 메시지를 받고 있다. 딸이 학교에서 지급한 학생신분 카드를 가지고 교문을 통과하는 순간이다. 교문에 설치된 단말기가 카드를 읽고 학생 신원을 파악, 통신사의 ‘안심 서비스’를 통해 자동으로 학부모에게 문자를 보낸다고 한다. 하교 시에도 문자 메시지를 받아 이씨는 학교를 오가는 딸의 안전에 마음이 적잖이 놓인다.세종시 학교들이 오는 3월부터 ‘스마트 스쿨’로 문을 연다. 등하교에서 수업까지 학교 생활의 전 과정이 전자 시스템으로 이뤄진다. 국내 처음 도입되는 최첨단 교육 시스템이다.

12일 충남 세종시 첫마을. 이날 오후 찾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퍼스트프라임아파트 인근 참샘초등학교에서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덤프트럭이 흙을 열심히 퍼날랐고, 인부들은 손을 불면서 망치질을 했다. 어느 세월에 완공할까 싶을 정도로 교내 공사 현장은 어수선했다. 현장 관계자는 “3월 개교에 문제가 없다.”며 “외형은 다른 학교와 비슷하지만 교실에 최첨단 교육 시설이 갖춰진다.”고 말했다.
이 학교 교실에는 전자칠판이 설치된다. 학생들은 책상에 앉아 스마트패드로 배운다. 선생님이 전자칠판에 터치펜으로 글씨를 쓰면 학생들의 스마트패드에 바로 전달된다. 분필 가루가 날리지 않는 교실이다. 교사가 특정 학생에게 문제를 풀도록 시켜도 다른 학교처럼 칠판 앞으로 나가지 않아도 된다. 자기 책상에 앉아 스마트패드에 터치펜으로 문제를 풀면 전자칠판에 실시간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교과서·필기구 필요없는 ‘스마트패드’
교과서도 전자책처럼 디지털 스마트패드에 담겼다. 다른 학교처럼 종이 책이나 노트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교사도 종이 교재를 만들 필요가 없다. 교육자료를 아래아한글이나 파워포인트 등으로 만들어 수업 중 바로 학생들의 스마트패드로 보내면 된다. 학급당 학생 수는 20~25명으로 선진국형이다. 몸이 아파 학교에 못 가도 자기 반의 교실 수업을 전자 시스템을 통해 집에서 실시간으로 보면서 공부할 수 있다.
학교 도서관에는 직원이 거의 없다. 학생이 신분 카드 하나로 스스로 책을 빌리고 반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샘초뿐만 아니라 3월 개교하는 참샘유치원, 한솔중·고와 9월에 문을 여는 한솔유치원, 한솔초등학교 등 첫마을 6개 유치원·초중고 모두 스마트 스쿨이다. 행정도시건설청은 학교마다 전문가를 한 명씩 배치해 전자 교육기재가 고장 나면 바로 고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첫마을 모든 학교의 전기, 소방, 엘리베이터, 냉난방시설 등을 한꺼번에 관리하는 ‘학교통합관리센터’도 만들고 있다. 적은 인력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전기·소방시설 등 통합관리센터 구축
세종시 학교는 인구 50만명이 되면 모두 유치원 66개, 초등학교 41개, 중학교 21개, 고등학교 20개, 특수학교 2개로 늘어난다. 외국어고, 과학고, 예술고도 2013~15년에 차례로 개교한다.
손윤선 행정도시건설청 교육시설기획과장은 “일단은 종이 교과서를 병행하며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부터 적용하고 점차 전 학년으로 디지털화를 확대하겠다.”면서 “세종시 전 학교를 최첨단 교육시설에 자율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는 스마트 학교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기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2-01-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