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장 전 해수욕장 잇단 안전 사고
수정 2014-07-09 00:57
입력 2014-07-09 00:00
강원 동해안 한달새 4명 익사
8일 강원도 환동해본부에 따르면 예산과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개장 전 해변에 안전요원을 배치하지 않은 사이 익사 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강원 동해안 해변은 지난 1일 개장한 속초를 제외하고 대부분 오는 11일 개장한다. 하지만 지난 5일 강릉 사근진해변과 강문해변에서 10대 청소년 2명이 사망했고 4일에도 주문진 인근 해변에서 10대가 물에 빠져 숨졌다. 때 이른 더위로 일찍 해변을 찾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안전 문제가 도마에 올랐지만 결국 지난달부터 지금까지 동해안 해변에서만 4명이 목숨을 잃었다. 지난해와 2012년에는 2명이 숨졌다.
이처럼 개장 전 사망 사고가 해마다 되풀이되지만 지자체들은 여름해변 운영 기간 민간안전요원 계약에만 수억원의 예산이 드는 만큼 관리 의무가 없는 개장 전의 안전문제까지 책임질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자체 관계자들은 “빠듯한 예산으로 해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1년 내내 안전요원을 배치할 수도 없어 난감하다”면서 “해변을 찾는 관광객들이 해마다 빨라져 앞으로 6월쯤부터 안전요원을 배치하는 방안도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강릉시는 오는 11일부터 다음달 25일까지 해변 운영 기간 137명의 민간안전요원을 고용하면서 3억 8000만원의 예산을 들였다. 개장 전 6월부터 안전요원을 배치한다면 예산이 5억원 이상 들어갈 것으로 본다. 국·도비 지원 없이 자체 예산으로만 충당하면서 부담이 되고 있다. 해변 안전관리를 책임지는 해양경찰도 인력 부족에 시달리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실정이다.
한영선 도 환동해본부 해양관광계장은 “지난 5월 초 국회에서 ‘해수욕장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이 통과돼 해변 안전에도 국비가 지원되는 길이 열려 기대된다”고 말했다.
강릉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4-07-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