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 길 잃을 염려 없도록 배회감지기 신청하세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수정 2015-04-28 03:03
입력 2015-04-27 23:38

경기북부 50대 보급… 150대 추가 계획

경기경찰청 제2청이 지역에서 매년 500명가량 발생하는 치매노인 실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처음 도입한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한 ‘배회감지기 보급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경찰청은 지난달 2일 경찰서에 공문을 보내 치매노인 보호자들에게 배회감지기 사용을 적극 권장하도록 했다.

이미지 확대
27일 제2청에 따르면 길을 잃은 노인이 목걸이 형태의 배회감지기를 몸에 지니고 있으면 보호자가 쉽게 찾을 수 있다. 보호자가 휴대전화로 언제든지 노인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감지기를 가진 노인이 비상호출 버튼을 누르면 보호자에게 위치 정보 등이 담긴 문자메시지가 전송된다. 노인이 특정 구역을 벗어나면 경보음이 울린다.

실제 지난 20일 오후 6시쯤 의정부에서는 홀로 살던 치매노인(77)이 갑자기 실종됐으나 배회감지기를 지닌 덕분에 경찰과 요양 보호사가 한 시간 만에 인적이 드문 축석고개 부근 골목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경기 북부 지역에서는 50대의 배회감지기가 보급됐다. 제2청은 연말까지 150대를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 그러나 경기 북부 지역에서 외부 활동이 가능한 치매환자(5등급)는 지난 1월 현재 1240명에 달해 아직 1040명이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배회감지기는 가까운 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실종전담반에 문의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노인요양등급을 받은 노인은 무료로 대여받을 수 있고, 월 통신료는 2970원이다. 기초생활수급대상자는 무료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5-04-2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