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기피시설을 도시재생공원으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수정 2016-03-03 18:37
입력 2016-03-03 18:12

광명동굴·자원회수시설 등 연계… “교통 좋은 가학산, 성공 확률 높아”

경기 광명시가 광명동굴과 인접한 광명자원회수시설,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등 3곳을 연계해 ‘광명도시재생공원’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기피 시설을 친화적으로 만들기 위한 역발상이다. ‘재생’을 테마로 한 도시 공원을 어느 정도 규모로 어떤 시설을 넣어 조성할지와 필요한 사업비를 어떻게 조달할지는 연구 과제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공원 조성 계획은 광명동굴이 위치한 가학산이 역사·교육·관광·여가·산업 분야를 아우르고 있어 국제적으로도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말한다.

이미지 확대
김정후 영국 런던대 교수는 “도시 재생 공원의 성패는 경제적 자생력에 달려 있다”고 전제한 뒤 “가학산은 교통이 좋은 서울 근교에 위치한 데다 광명동굴이라는 뛰어난 체험형 관광 자원이 있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광명도시재생공원 조성 전략 연구용역’을 맡았다. 김 교수는 또 “광명시가 동굴, 업사이클아트센터, 자원회수시설 등 3가지 지역 자산과 인근의 가학산 근린공원을 합쳐 공원으로 개발한다면 다른 도시에는 없는 광명만의 독특한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갖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는 광명자원회수시설 홍보동을 리모델링한 것으로 지난해 7월 문을 열었다. ‘업사이클’을 주제로 다양한 전시와 디자인 교육, 이벤트가 어우러지는 시민을 위한 예술 공간이다. 양기대 시장은 “광명동굴 등이 위치한 가학산 일대를 창조산업의 대표적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6-03-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