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6번째 테크노밸리’ 유치 양자대결

한상봉 기자
수정 2017-11-07 00:50
입력 2017-11-06 22:22
의정부시 유치신청 전격 철회… 구리·남양주 vs 양주시 압축
북부와 동부권 세대결 구도로… 道, 13일 사업지 후보 선정두 번째 경기북부테크노밸리 후보지 선정일이 1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3곳이었던 경합 후보지가 구리·남양주시와 양주시 2개 그룹으로 압축됐다. 의정부시가 6일 유치 신청을 전격 철회했기 때문이다.

테크노밸리는 경기도가 추진 중인 첨단 산업단지 조성사업이다. 미래 성장을 이끌 정보통신(IT)·바이오(BT)·문화(CT)·나노(NT) 업종의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별 자족 기반을 마련하는 게 목표다.
의정부는 이날 안병용 시장이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유치 신청을 철회하고 양주시를 지지하기로 했다. 안 시장은 “남양주시가 구리시를 지원하는 상황이라, 양주시 유치가 희망적이지 않다. 경원선축 유치를 위해 의정부 여건보다 유리한 양주시를 지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안 시장은 의정부 후보지였던 경원선 녹양역 우정마을에는 의정부법원과 검찰청 유치를 포함한 새로운 도시개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경기동부권시장군수협의회가 7일 구리·남양주 유치를 지지하는 선언을 할 예정이어서 북부 대 동부권 대결 양상을 보이고 있다.
남양주시와 공동 유치전에 나선 구리시는 사노동 일대 21만 9000여㎡와 인접한 남양주시 퇴계원 일대 7만 2000여㎡ 등 합계 29만 2000여㎡를 후보지로 제안했다. 구리도시공사와 남양주도시공사가 공동 참여해 도시개발사업으로 진행한다. 양주시는 남방동·마전동 일대 55만 5000여㎡를 후보지로 내세웠다. 양주시가 40% 지분으로 참여해 도시개발사업과 산업단지개발사업으로 병행하는 방식이다.
지자체들은 테크노밸리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테크노밸리를 유치하면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고 단체장의 치적 홍보가 되기 때문이다. ‘한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판교테크노밸리 내 1306개 입주기업들의 연간 매출은 지난해 기준 77조 4000여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총생산(GRDP)의 22%를 차지한다. 부산시 78조원, 인천시 76조원인 GRDP와 비슷하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7-11-0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