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마을주택관리소’ 확대 설치…아파트 관리사무소 역할

한상봉 기자
수정 2020-01-29 14:42
입력 2020-01-29 14:42
관리소장 등 상주하며 취약가정 보일러 수리 등 각종 지원

마을주택관리소는 관리소장 1명과 자원봉사자 또는 공익근무요원 1명 등 2명이 상주하면서 독거노인·소년소녀가장 등 주거 약자 및 취약 가정에 도배·장판·창호 교체, 보일러 수리 등의 각종 지원을 한다. 일반 주민들에게는 스스로 집수리를 할 수 있도록 공구를 빌려 주고 맞벌이 가정을 위한 택배 물건 보관소 역할도 한다.
관할 구청 도움을 받아 자원봉사자·마을공동체·재능기부자·지역 전문업체와 함께 마을꽃길 단장, 담장허물기 등의 마을환경정비 사업도 주도한다. 관리소 별로 연간 4000~5000만원씩 지원하기 위해 올해 총 9억원의 예산을 세웠다.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2015년 부터 4개 자치구에서 시범운영 해온 이 사업은 지난 해 관련 조례가 만들어져 시 전역으로 확대 설치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현재 7개 자치구 등에 13개소가 설치돼 있고 올해 11개소가 더 설치된다. 올해 부터는 2명씩 상주 인원을 고정 배치하고 도움이 필요한 가정을 직접 찾아가 돕는 등 역할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효근 인천시 주거재생과장은 “마을주택관리소의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노후한 원도심을 살기 편하고 정이 넘치는 행복공동체로 탈바꿈 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