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격리도 확산에 속수무책… 광주 요양병원 하루 확진 16명으로 급증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치봉 기자
수정 2021-01-12 03:18
입력 2021-01-11 21:14

확진자 내보내도 병원 내 감염 지속

감염 환자 즉시 전문병원으로 이송해도
매일 확진 추가돼 누적 115명… 방역 한계
市 “화장실 같이 쓰는 구조라 추가 감염”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코호트(동일집단) 격리된 광주 효정요양병원의 환자와 직원의 추가 확진이 끊이질 않고 있다. 발생 초기 단계에서 감염 환자를 전문병원으로 분산 조치해 추가 확산을 막겠다는 방역 당국의 계획이 한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11일 광주시에 따르면 효정요양병원에서는 전날 하루 동안 환자 12명, 직원 4명 등 모두 16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확진 장소별로는 이전의 본관 1·2층 위주와 달리 본관 2층 3명, 신관 1층 3명, 신관 2층 3명, 신관 5층 4명 등 신관 3층을 제외하고 모든 병실로 확산하고 있다.

이 요양병원에서는 지난 2일 본관 2층에서 7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다음날인 3일 58명이 무더기 감염됐고 4일 13명→5일 5명→7일 12명→9일 4명→10일 16명 등으로 확진자 발생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로써 효정요양병원 관련 확진자는 모두 115명으로 급증했다. 송혜자 광주시 감염병관리과장은 “지난 2일 집단감염 이후 3일마다 실시하는 전수검사에서 매번 추가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면서 “이 병원 신관과 본관이 각각 별도의 건물이지만 화장실을 공동 사용하는 구조로 설계됐고 개인별 바이러스 잠복기 차이 등으로 새로운 감염이 멈추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지난 3일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중앙사고수습본부와의 협업을 통해 요양병원 내 확진자를 전국의 전문 치료병원으로 옮기는 등 발 빠르게 대응했다. 그러나 일주일이 지난 현재까지도 병원 내 수평 감염을 잡지 못하면서 코호트 격리에 한계점을 드러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21-01-1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