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접경지 5곳 ‘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 조성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조한종 기자
수정 2021-12-15 02:38
입력 2021-12-14 20:48

ICT 접목해 스마트 그린도시 구축
물 부족·한파 등 기후변화에 대응

강원지역 접경지 5곳에 기후변화 대응의 거점기지인 ‘강원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가 조성된다. 강원도는 14일 기후·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부와 공동으로 접경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 그린도시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강원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는 국내 최북단이라는 특수성을 활용해 강수량 감소로 인한 물 부족, 한파 증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곡창지대인 철원은 2030년 2000만t의 농업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지난해 수해로 220여 가구에서 이재민이 발생하는 등 극심한 기후 양극화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등 접경지역 지자체별로 한 곳씩 모두 500t 규모의 빗물 재이용 시설과 지하수 수원확보 시스템을 갖춘다. 또 접경지 10곳에 자동기상관측장비(AWS)와 자동대기측정소를 확충해 기후데이터를 대폭 보강한다. 사업비는 국비 60억원을 포함해 모두 100억원이 소요된다. 현재 실시설계가 진행 중이며 내년 2월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양섭 강원도 자연공원담당은 “강원생태평화 기후탄력벨트는 기후변화에 대한 주민 적응력을 높이고 스마트 대응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도와 5개 기초지자체가 협업한 전국 최초의 모델”이라고 밝혔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21-12-1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