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도 개방했다… 우이령길 예약제 없애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수정 2022-11-17 01:17
입력 2022-11-16 20:20

양주시민·등산객 서명 운동
개방 땐 송추~우이동 도보 가능

이미지 확대
경기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송추)에서 서울 강북구 우이동까지 약 7㎞ 거리의 우이령 산길을 개방하라는 요구가 거세다. 우이령길이 예약제 없이 완전 개방될 경우 도봉산을 가운데 놓고 정반대 쪽에 각각 위치한 송추와 우이동을 걸어서 오갈 수 있다.

16일 양주시에 따르면 장흥면 주민들은 최근 양주시민과 등산객들을 상대로 우이령 탐방 사전 예약제 폐지를 촉구하는 서명을 받고 있다.

우이령길은 6·25전쟁 때 미군 작전 도로로 개설됐다. 송추 일영 일대의 양주시민들은 전쟁 후 우마차를 이용해 서울로 농산물을 팔러 다닐 때 우이령 산길을 이용했다. 송추에서 우이령을 넘어 우이령길 입구까지는 6.8㎞에 불과하다. 이 길을 이용하지 않고 가려면 도봉산을 시계 방향으로 우회해야 하는데, 그 거리가 약 18.6㎞에 이른다.

우이령길은 1968년 1·21 청와대 습격 때 북한 공작원의 침투로였다는 이유로 통제됐다가 양주시민들의 재개통 요구로 2008년 9월 부분 개방됐다. 그러나 북한산국립공원 내 탐방로 중 유일하게 사전 예약자에 한해서만 출입을 허용하고 있다. 더욱이 하루 탐방객이 양주 방면 교현탐방센터에서 500명, 강북구 방면 우이탐방센터에서 500명 등 1000명으로 제한됐다. 신분 확인, 탐방 시간 통제 등으로 이용도 불편하다.

강수현 양주시장은 “천혜의 비경을 자랑하는 우이령 탐방로는 많은 사람이 찾아야 그 가치가 높아진다”며 “우이령 탐방로가 수도권의 걷기 명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환경부, 국립공원공단과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은 “북한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까막딱따구리 등 22개 법정 보호종 중 13종이 우이령길 쪽에 서식하고 있어 2014년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면서 “예약제를 유지하는 입장을 갖고 있으나 해제 요구가 계속 나오고 있어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상봉 기자
2022-11-17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