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하원·아픈 아이도 챙깁니다”… 서울시 ‘돌봄 3종’ 본격 나섰다

조희선 기자
수정 2023-01-12 00:08
입력 2023-01-11 17:50
오전 7~10시·오후 4~8시 틈새 돌봄
용산·광진·중랑 등 5곳 우선 추진
만 12세 이하 아프거나 접종·검진
성동·동대문·성북구 등 5곳 시행
만 36개월 이하 영아 전담 서비스
작년 6곳→올해 전 지역으로 확대
올해 처음 운영하는 ‘등하원 돌봄 서비스’는 300명의 전담 돌보미를 지정해 용산·광진·중랑·서대문·강동구 등 5개 자치구에서 우선 추진한다. 전담 아이 돌보미가 어린이집, 유치원, 보육시설의 등원 시간(오전 7~10시) 전후에 식사나 준비물을 챙겨 주고, 하원 시간(오후 4~8시) 전후 양육자가 귀가할 때까지 아이를 돌봐 준다.
단시간 돌봄(2시간 기준)을 신청하면 전담 돌보미가 시간당 급여를 기본 시급보다 1000원 더 받는다. 시 관계자는 “단시간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양육자는 많은 반면 아이 돌보미들은 장시간 돌봄에 참여하길 선호해 그 틈새를 줄이고자 돌보미들의 시급을 올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아픈 아이 돌봄 서비스’는 만 12세 이하 아동이 복통 등 비전염성 단순 질병으로 갑자기 아프거나 예방 접종, 정기 검진 등을 위해 병원을 찾아야 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시는 최대 720명의 전담 돌보미를 지정해 성동·동대문·성북·강서·서초구 등 5개 자치구에서 이 제도를 시행한다. 병원에 동행하고 진료비 수납, 약 구매, 가정 내 돌봄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만 36개월 이하의 영아를 돌보는 ‘영아 전담 돌봄 서비스’는 육아 휴직 후 직장으로 복귀하는 부모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다. 지난해 구로구 등 6개 자치구에서 시범 운영했는데 올해부터는 서울시 전 지역에서 시행한다. 시는 영아 전담 돌보미를 지난해 260명에서 올해 800명으로 늘렸고, 2025년에는 1000명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영아 돌보미는 영아에 대한 이해와 돌봄 전문 역량을 기르기 위해 하루 8시간 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기존 아이 돌봄 서비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서울형 틈새 아이 돌봄 3종 서비스를 시행하게 됐다”면서 “서울시는 앞으로도 부모들의 고민에 귀 기울여 ‘아이 키우기 좋은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
2023-01-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