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째 시계탑에 가려진 ‘파주 3·1운동 기념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수정 2023-03-01 00:10
입력 2023-03-01 00:10

공원 뒤편 안 보이는 곳에 방치
지역 인사들 “시계탑 이전해야”

이미지 확대
경기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 시내 입구 삼거리 통일로변에 위치한 JC시계탑(빨간 네모 안)과 파주3·1운동기념비(노란 원안) 전경.
경기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 시내 입구 삼거리 통일로변에 위치한 JC시계탑(빨간 네모 안)과 파주3·1운동기념비(노란 원안) 전경.
경기 북부 최대 만세운동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파주 3·1운동 기념비’가 청년 봉사단체의 시계탑에 가려져 있어 수십 년 동안 논란이 되고 있다.

28일 이윤희 파주지역문화연구소장에 따르면 파주 주민 3000여명은 1919년 3월 28일 경기 5대 장시였던 공릉장터에서 대규모 만세운동을 벌였다. 일본 헌병의 발포로 박원선 선생 등 8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쳤으며 22명이 옥고를 치렀다.

지역 인사들은 선열들의 정신을 기려 1978년 3월 1일 옛 공릉장터 입구인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1리 입구 통일로변 삼거리 소공원에 파주 3·1운동 기념비를 세웠다. 기념비는 3단으로 돼 있으며 높이는 4m가량이다. 뒷면에는 만세운동을 주도한 심상각 선생을 비롯한 19인의 명단과 당시 희생된 8명, 옥고를 치른 22명의 이름이 기록됐다. 파주시는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 지정된 이 기념비 앞에서 매년 기념행사를 열고 있다.

그러나 기념비는 파주청년회의소(JC)가 세운 시계탑에 40년 넘도록 가려져 있다. 파주JC는 1982년 10월 창립 5주년을 기념해 3·1운동 기념비 10여m 앞에 바닥 폭 2m, 높이 5m가량의 시계탑을 세웠다. 이 때문에 서울에서 파주 봉일천·금촌·문산 방향으로 진행할 때 보여야 할 3·1운동 기념비가 보이지 않고 JC 시계탑만 보인다.

지역 인사들은 1990년쯤부터 “파주인의 자부심이 돼야 할 3·1운동 기념비가 방치돼선 안 된다”면서 “JC 시계탑을 이전하고 주변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파주시 관계자는 “파주JC 회원 등과 논의해 합리적인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한상봉 기자
2023-03-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