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기 1위 의성군, 인구 5만명 선도 깨졌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수정 2023-04-05 01:35
입력 2023-04-05 01:35

한달 새 88명 줄어 4만 9954명
4년간 1280억 투입해도 역부족
경북 “혁명적 대책 없인 소멸뿐”

경북도가 ‘지방소멸 위험지수’ 전국 1위인 의성군의 인구를 늘리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는데도 되레 인구 감소세가 멈추지 않자 허탈해하고 있다.

도는 지난달 31일 기준 의성군 인구수가 전달보다 88명 준 4만 9954명이라고 4일 밝혔다.

이로써 2011년 인구 6만명 선이 붕괴한 지 12년 만에 5만명 선이 무너졌다. 태어나는 아기 수보다 사망하는 사람이 많아 나타나는 ‘데드 크로스’(인구 자연감소) 현상이 가속화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의성은 사망자(1128명)가 출생자(193명)를 6배 앞질렀다.

의성군은 65세 이상 노인 비중이 45%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높다. 소멸위험지수도 0.11로 소멸 고위험지역 1위다. 소멸위험지수는 만 20~39세 가임 여성 인구를 만 65세 이상 인구로 나눠 낸 지수다. 0.5~1.0 미만인 경우 ‘주의’, 0.2~0.5 미만은 ‘소멸위험 진입단계’, 0.2 미만은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도가 최근 4년간(2019~2022년) 의성지역의 심각한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국·도비 등 1280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역부족이었다. 도는 그동안 의성 안계면 일원에 청년 일자리와 주거단지, 복지체계를 두루 갖춘 ‘이웃사촌 시범마을’을 조성하는 등 의성을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한 성공 사례로 만들기 위해 각종 사업을 적극 추진해 왔다.



도 관계자는 “죽어 가는 의성을 살려 내기 위해 지금까지 쏟은 노력과 정성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면서 “혁명적인 대책 없이는 의성이 전국에서 가장 먼저 소멸하는 모습을 지켜볼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했다.

의성 김상화 기자
2023-04-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