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어린이답게… ‘행복도시 서울’ 만든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수정 2023-05-04 01:46
입력 2023-05-04 01:46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 발표

2026년까지 5대 분야에 4146억
내년 마음건강 돌봄 센터 개소
어린이 꿈페스타 등 축제 풍성
오 시장, 어린이 권리장전 선언

이미지 확대
오세훈(맨 뒷줄 왼쪽 네 번째) 서울시장이 3일 서울시청에서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를 발표한 뒤 어린이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는 2010년 이후 태어난 만 13세 이하의 ‘알파세대’에 초점을 맞춘 전국 최초의 종합계획으로, 서울시는 2026년까지 4146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 제공
오세훈(맨 뒷줄 왼쪽 네 번째) 서울시장이 3일 서울시청에서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를 발표한 뒤 어린이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는 2010년 이후 태어난 만 13세 이하의 ‘알파세대’에 초점을 맞춘 전국 최초의 종합계획으로, 서울시는 2026년까지 4146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 제공
학업 문제나 대인관계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어린이들의 마음 건강을 돌보는 ‘서울 어린이 활짝센터’가 내년에 문을 연다. 또 어린이들이 스스로 자신들과 밀접한 정책을 발굴·제안하면 서울시가 정책에 반영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3일 이런 내용을 담은 ‘어린이 행복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10년 이후 태어난 만 13세 이하의 ‘알파세대’에 초점을 맞춘 전국 최초의 종합계획이다.

시는 2026년까지 ▲참여·존중 ▲신나는 놀거리 ▲꿈·미래 ▲안전·돌봄 ▲심리·건강 등 5대 분야에 4146억원을 투입한다.

어린이 활짝센터는 어린이가 마음 건강을 진단받고 그 결과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2026년까지 5000여명의 어린이 마음 건강 관리를 도울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성적 스트레스, 코로나19 등으로 우울증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접근성 등을 고려해 위치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초등학생 100명으로 구성된 ‘서울어린이 정책참여단’은 오는 7월부터 운영된다. 올해부터 매년 11월 19~25일은 ‘어린이 행복주간’으로 지정된다. ‘서울 어린이 꿈페스타’ 등을 비롯해 어린이가 중심이 되는 다양한 축제와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서울시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과 잠실종합운동장 등 시립체육시설 입장 시 어린이 동반 가족을 우선 입장하도록 하는 ‘어린이 퍼스트 문화’를 조성한다.

태어나면서부터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디지털 네이티브(원주민)’인 알파세대가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환경도 만들어진다. 현대자동차와 협력해 ‘팝업 놀이터’ 형태인 ‘찾아가는 놀이버스’ 등이 대표적이다.

또 디지털 기기 사용 대신 텃밭 재배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디지털 디톡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오 시장은 이날 어린이 중심도시 서울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은 ‘서울 어린이 권리장전’을 선언했다. 오 시장은 “초저출생 시대 도시는 미래세대인 어린이가 중심이 돼야 한다”며 “자신의 꿈과 미래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2023-05-04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