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대비 500배 경제 파급효과… 부산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구형모 기자
수정 2025-11-20 00:50
입력 2025-11-20 00:50

세계디자인수도 선정 의미는

‘2010년 선정’ 서울 8900억 가치 창출
박형준 시장 “부산의 전환점 될 것”
부산의 세계디자인수도(WDC) 도전에 길라잡이 역할을 한 서울은 2010년 WDC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WDC 유치 전후(2007~2012)로 광화문광장과 청계천 주변 시설물 정비는 물론 가로등·신호등 디자인 표준화 등 디자인 기반 도시 공간을 재정비하고 생활 환경과 도시 경관을 개선했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라는 서울시의 새로운 랜드마크가 조성된 것도 당시 공공디자인 혁신을 통해서다. 이를 통한 서울의 도시 브랜드 가치 창출액은 89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산업정책연구원은 추산했다.

국경에 맞닿은 두 도시 미국 샌디에이고와 멕시코 티후아나는 지난해 WDC로 1년간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 뒤 경제적 파급효과가 2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WDC 배정 예산 40억원 대비 500배의 효과를 본 셈이다.

2022년 WDC에 선정된 스페인 발렌시아도 1년간 300여개의 행사와 50여개의 대형 전시를 펼쳐 방문객 17만 8000여명, 관광소비 지출액만으로 391억원 규모의 효과를 봤다. 2019년부터 3년간 약 1만건의 기사가 보도됐고 25억명이 봤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였음을 감안하면 대단한 수치가 아닐 수 없다. 발렌시아는 WDC 종료 후 ‘발렌시아지역디자인재단’을 설립해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된 도시발전 모델로 확산시키는 성과를 냈다.

2016년 WDC 대만 타이베이에서는 젊은 디자이너 40여명이 참여해 전통시장의 낡은 간판을 현대적 디자인으로 개선하는 도시 재생 프로젝트로 전통시장을 현대적 감각의 도시 브랜드와 연결하는 사례를 창출했다.

이처럼 WDC 지정은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세계적 위상을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작용한다. 관광객 증가와 투자 확대를 통해 지역 경제 전반에도 파급효과로 이어진다.

그럼에도 2028년 WDC 부산 본 행사까지 남은 2년을 어떻게 준비하는가에 따라 그 결과물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정확히 수치화하기는 어렵지만 전례로 볼 때 긍정적인 것만은 분명하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시청 직원 특강에서 “WDC 선정은 단순한 도시 브랜드 타이틀이 아니라 부산의 새로운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설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WDC가 되기 전후 부산에 어떤 변화가 이뤄질지 그 답을 시민과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부산 구형모 기자
2025-11-2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