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강산 서울시의원 “기초학력 정의 재정립해야”
수정 2023-11-08 09:00
입력 2023-11-08 09:00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정책개발 연구는 서울시의회 입법정책 연구용역으로 진행됐으며, 중·고교 현직 교사에게 기초학력과 관련한 33문항의 설문지를 배포해 373건의 응답을 확보한 바 있다.
연구에 따르면 ‘기초학력보장법’ 제2조에 따른 정의인 ‘학생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갖춰야 하는 최소한의 성취기준을 충족하는 학력’에 대해 응답 교원의 16%만 긍정한다고 답변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정규 교육과정 시간에 학생 맞춤형 지원으로 담임교사와 협력하는 ‘기초학력 협력강사’와 관련해 단위학교 책임지도제나 키다리샘에 비해 학생, 학부모, 교원의 만족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박 의원은 “서울시의회에서 기초학력 문제로 다수당 단독의 특별위원회도 구성되고, 본회의에서 찬반토론이 있었는데, 정작 현장 교사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됐는지 의구심이 든다”라며 “기초학력은 단순히 문해력과 수리력을 측정하는 것 이상의 개념이기 때문에 향후 교육청이 의회와 현장의 가교 구실을 하며 정의를 재정립하는 일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