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만수 부천시장 “모두가 주·인·공 되는 도시로”

한상봉 기자
수정 2015-11-19 00:28
입력 2015-11-18 23:02
산책 편한 도시 위해 환경개선사업

부천시 제공
우선 671억원을 들여 2017년까지 원도심 지역 13곳에 1386대의 차량을 동시 주차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을 순차적으로 만든다. 현재 중동과 상동신도시 주차장 확보율은 101%인 반면, 원도심 지역은 70%에 불과해 2만 5000여면이 부족하다. 2017년까지 원도심 주차장 확보율을 80%까지 끌어올리고, 2021년까지는 내 집안 주차장 갖기 사업, 기계식 주차장 이용 활성화 사업, 주차장법 강화(가구별 0.7대를 1대로) 등을 통해 100%를 달성할 계획이다.
또 중동 신시가지, 소사로 등 113개 거리(22만 2993㎡)에 100억원을 들여 하이힐을 신고 유모차를 끌면서도 전혀 불편하지 않도록 보행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현재 사용 중인 보도블록을 걷어내지 않고 덧씌우기 등으로 시 전역의 인도 17%를 정비할 예정이다. 이는 평년 인도 정비 물량의 20배에 해당한다. 나무뿌리 등으로 울퉁불퉁한 구간과 보행자가 많은 거리를 우선 정비한다. 정비 후에는 요철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폭 3m 이하 보도를 굴착할 경우에는 전면 재포장하고, 부득이 파손될 경우에는 원인자가 반드시 원상복구하도록 강제한다.
이 밖에 부천시민 누구나 걸어서 10분 이내에 이용할 수 있는 1500~1만㎡ 규모의 생활형공원 11곳을 2017년까지 1000억원을 들여 만든다. 부천에는 현재 149개의 크고 작은 공원이 있지만 시민생활권역과 가까운 휴식공간이 절대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도당천문대와 범박터널 상부공간 등은 경관녹지공원으로 조성하고 심곡복개천·베르네천 등의 하천길을 연결해 ‘수변 100리 공원길’을 만들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1인당 4.38㎡인 1인당 공원면적이 6.08㎡로 늘어난다.
김 시장은 “도시 환경이 많이 변해 생활권역별 맞춤형 도시계획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면서 “주·인·공사업이 모두 마무리되면 신도시와 원도심의 균형발전과 쾌적한 주거환경이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5-11-1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