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간 격리조치 마친 에볼라 긴급구호대 1진 첫 인터뷰 “사망자보다 퇴원 환자가 많은 날 가장 보람”

이제훈 기자
수정 2015-02-23 03:48
입력 2015-02-22 23:50
의료진 25명이 환자 34명 돌봐
시에라리온에서 에볼라 전염병 대응에 참여하고 돌아온 대한민국 긴급구호대 1진 의료팀장인 신형식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센터장은 “외국에서 치명적 전염병이 발생할 때 조기에 의료진을 보내 연구나 치료를 할 수 있는 역량을 앞으로 더 축적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구호대는 활동 초반 동료대원 1명이 주삿바늘 접촉사고로 활동을 중단하고 독일로 이송되는 아찔한 상황을 맞기도 했다. 여기에 의료진 25~26명이 환자 33~34명을 돌보는 어려운 상황도 있었다.
박교연 간호사는 “날씨가 너무 더워 낮 근무에 2시간 동안 옷(보호의)을 입고 일을 하다 보면 땀이 많이 났다”며 “탈수가 될 것 같다는 느낌도 많이 받았다”고 전했다. 이태헌 대위는 “투병 끝에 숨진 두 살짜리 환자의 어머니가 울고 있는데 내가 해 줄 수 있는 일이 생각보다 많지 않아 힘들었다”고 말했다. 오대근 중령은 “사망 환자보다 퇴원 환자가 많아지는 날이 가장 보람된 날이었다”고 회상했다. 신 센터장은 “한 지역에 전염병이 생기면 어디든 파급될 수 있기에 능력 있는 나라가 가서 진료하고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5-02-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