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 위한 TF팀 본격 가동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수정 2020-10-21 09:43
입력 2020-10-21 09:43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위해 임시전담팀(TF) 가동에 들어갔다.

시는 21일 수도권매립지 종료 및 친환경 자원순환 정책 추진을 위해 관계기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TF를 만들어 운영한다고 밝혔다.

앞서 박남춘 시장은 지난 15일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을 위한 시민공동행동을 발표하며 2025년 수도권매립지를 사용 종료한 후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른 자원순환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인천시는 마지막 매립지인 3-1매립장 사용을 대비해 1인 1일 쓰레기 발생량을 0.8kg으로 줄이고, 58%인 재활용율을 95% 수준으로 끌어 올릴 예정이다. 특히 인천시 만의 새로운 친환경 매립지 마련 및 소각시설(4개) 확충 등 자원순환체계를 대전환하는 등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시 관계자는 “2025년까지 자원순환시설 및 체계를 전환해야 하는 만큼 발생지 처리원칙에 따라 과학적인 처리와 친환경적 자원순환처리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TF팀은 인천시장을 총괄단장으로 하고, 관련기관 전문가 시민이 참여하는 6개 분야 56명으로 구성했다. 총괄단장 밑으로 실무단장, 간사 및 전문가 자문단과 자원순환협의회 실무분과, 정무시민협력분과, 홍보분과, 지원분과 총 4개 분과로 구성했다.

실무분과는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폐기물처리계획 수립 실행, 정무 시민협력분과는 친환경 폐기물관리정책 전환 공감대 형성 및 범시민운동 추진, 홍보분과는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 당위성에 대한 대시민 홍보 등을 맡는다. 지원분과는 자체 처리시설 조성과 관련 법률, 행정절차, 투자 및 재정지원방안 등을 마련한다.



오흥석 인천시 교통환경조정관은 “그동안 수도권을 위해 희생해 왔던 낡은 방식의 비환경적 비효율적 폐기물처리 정책을 버리고 세계적 수준의 자원순환 선도 도시로 도전하려는 것”이라면서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